원하시는 크기를 설정해주세요.

사진 = 다날 CI / 다날
페이코인 운영사 다날핀테크의 안영세 이사가 금융당국 측에 페이코인의 실명계좌를 반드시 발급해 오겠다며 결제 서비스 중지 기간을 연장해 달라고 요구했다.
안 이사는 30일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국민의힘 정책위원회와 디지털자산특별위원회(디지털자산특위)가 개최한 신산업·규제혁신TF의 연구결과 보고회의 질의응답 시간에 참여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해당 자리에 참석한 이동욱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 가상자산검사과장 등을 향해 "실명계좌는 반드시, 분명히 받아 오겠다"라며 "막바지 단계"라고 강조했다.
페이프로토콜은 다날 자회사로 지난 2021년 4월 가상자산 지갑·보관업자로 신고했다. 이후 사업구조를 바꾸고자 가상자산 매매업으로 변경신고서를 FIU에 제출했고, FIU는 관련해 특정금융정보법에 따라 페이프로토콜에 지난해 12월 30일까지 은행으로부터 실명계좌를 획득하라고 요구했다.
페이프로토콜은 당국이 제시한 기한을 맞추지 못해 연장 요청을 했지만 수용되지 않았고, 최종적으로 가상자산사업자 변경신고 불수리 통보를 받았다. 이에 따라 내달 5일까지 실명계좌를 받지 못하면 결제 서비스를 종료해야 한다.
한편, 이날 페이코인은 지난해 11월 공지한대로 3차 소각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페이프로토콜은 기존 전체 발행량 39.41억 개의 PCI 중 페이프로토콜이 보유한 20.41억 PCI를 4회에 걸쳐 나눠 소각한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발향량의 절반이 넘는(약 52%) 수량이다.
3차 소각된 수량은 5억1025만 PCI다. 동일한 수량의 4차 소각은 2월 27일 진행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추천해주세요
기사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