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고래·채굴자 9조 원대 비트코인 이동…매도 신호인가, 유동성 확보인가

프로필
손정환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비트코인 고래와 채굴자들이 최근 9조 원 규모의 BTC를 바이낸스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 매도 압력일 수 있지만 운영 자금 확보 목적일 가능성도 크다고 분석됐다.

 고래·채굴자 9조 원대 비트코인 이동…매도 신호인가, 유동성 확보인가 / TokenPost.ai

고래·채굴자 9조 원대 비트코인 이동…매도 신호인가, 유동성 확보인가 / TokenPost.ai

비트코인(BTC)이 한때 10만 7,000달러(약 1억 4,047만 원)를 돌파한 이후 다시 10만 5,000달러(약 1억 3,775만 원) 밑으로 떨어지며 반등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고래 투자자와 채굴자들의 대규모 비트코인 이동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 한 달간 총 1만 9,500BTC 이상, 약 20억 달러(약 2조 6,200억 원) 상당을 바이낸스로 옮긴 것으로 나타났다.

온체인 분석업체 크립토퀀트(CryptoQuant)는 이 같은 이동이 단발성에 그치지 않고 뚜렷한 행동 패턴의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1,000BTC 이상 대형 트랜잭션이 급증한 점은 기관 투자자나 고래의 매도 성향이 강해졌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다만 최근 일주일간 고래들의 전송 속도는 다소 완화돼, 매도 압력의 정점은 지났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시장에는 비트코인 가격 회복에 부담을 주는 외부 요인도 여전히 존재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보수적인 통화정책 기조와 규제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으며, 10만 7,000달러~11만 8,000달러(약 1억 4,047만 원~1억 5,484만 원) 구간에는 장기 보유자의 차익실현 물량이 집중돼 ‘저항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장기 보유자 수익률(LTH-SOPR)이 1.6 수준으로 하락한 점도 투자자의 확신 약화를 보여준다.

한편 채굴자들의 거래소 전송도 가파르게 늘고 있다. 데이터를 보면 11월 이후 7만 1,000BTC(약 9조 3,100억 원) 이상이 바이낸스로 유입됐다. 이는 연간 최대 규모에 해당하며, 10월에는 무려 20만 BTC가 이동했다. 연말 전후 재무조정이라는 계절적 요인 외에도 채굴 보상이 줄어든 현재, 채굴자들이 보유 전략을 보다 유동적으로 바꾸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크립토퀀트는 이들 대규모 전송이 단순 매도가 아닌 ‘운영 자금 확보’ 목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전력비, 장비 유지비, 신규 채굴 장비 투자 등에 필요한 유동성을 확보하는 차원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파생상품 시장의 거래량 확대는 채굴자들이 보다 융통성 있는 자산 운용 방식을 택하고 있다는 방증이 되기도 한다는 평가다.

결국 고래와 채굴자의 대규모 자산 이동은 비트코인 시장에 단기 변동성을 부추길 수 있지만, 반드시 약세 전환으로 직결되지는 않는다. 다만 기술적 저항선과 수익 실현 수요가 중첩되는 현 상황에서 상승 모멘텀 확보는 한층 더 까다로워질 전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사계절

22:55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11.12 22:56:0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