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관리 및 사이버보안 플랫폼인 1패스워드(1Password)가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켓플레이스의 AI 에이전트 및 도구 신규 카테고리에 MCP 서버 솔루션을 출시했다. 해당 솔루션은 1패스워드가 올해 초 인수한 보안 스타트업 트렐리카(Trelica)의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기업의 무단 애플리케이션 사용을 식별하고 AI 관련 ‘섀도우 IT’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출시된 MCP 서버는 AI 중심 워크플로에서 필수적인 보안 기능과 정책 집행을 가능하게 하며, 중앙 집중형 SaaS 관리 기능도 갖췄다. 총 350개 이상의 SaaS 앱과 통합돼 앱 사용 현황, 접근 권한, 정책 편차에 대한 읽기 전용 데이터 가시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업은 무분별한 SaaS 확산을 억제하는 한편, 인증 흐름이나 기존 ID 관리 시스템을 변경하지 않고도 AI 에이전트의 안전한 도입을 추진할 수 있다.
특히 이번 MCP 서버는 AWS의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odel Context Protocol)을 기반으로 실시간 에이전트 통신 및 접근 권한 인텔리전스를 지원한다. 사용자는 AI 에이전트가 실행하는 모든 활동이 감사 가능하고 법적 규정을 준수하며 보안성이 확보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1패스워드는 AWS 마켓플레이스 입점을 통해 고객이 별도 벤더 평가나 복잡한 협상 없이 솔루션을 신속히 도입할 수 있도록 했다. 구매가 AWS 계정 기반으로 일원화되면 결제, 라이선스, 접근 권한 관리 전반에 걸쳐 투명성과 통제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낸시 왕(Nancy Wang) 1패스워드 엔지니어링 부사장은 “AI 에이전트가 업무 중심으로 자리매김하는 지금, 가시성과 통제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이번 AWS 마켓플레이스 등록은 SaaS 투명성과 ID 거버넌스를 각 워크플로 내에 기본값으로 탑재할 수 있는 기회”라고 강조했다.
1패스워드는 지난 4월에도 확장 접근 관리(XAM) 플랫폼에 AI 보안 기능을 추가하며, 인간과 비인간 주체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접근 통제를 강화한 바 있다. 이번 MCP 서버 출시 역시 점차 확대되는 AI 에이전트 환경에서 보안과 규정 준수를 동시에 확보하려는 시장 수요에 대한 1패스워드의 민감한 대응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