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브리핑] 이더리움 커뮤니티 "미국 PoS 검증자들 규제 당국 굴복" 우려

| 토큰포스트 기자

[이더리움 커뮤니티 "미국 PoS 검증자들 규제 당국 굴복" 우려]

암호화폐 뉴스레터 플랫폼 크립토 프랙매티스트(Crypto Pragmatist) 설립자 잭 니월드(Jack Niewold)가 트위터를 통해 "이더리움 커뮤니티 내에서 미국의 이더리움 지분증명(PoS) 검증자가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의 압력에 굴복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검증자들이 OFAC의 압력에 체인 내 블록을 검열하거나 재구성할 것이란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이더리움 코어 개발자 회의에서는 이같은 우려가 현실이 될 경우 해당 검증자에 대해 강력한 패널티를 부여해야 하고, 우선 개발자들은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분석 "최근 BTC 하락, 단기적 흐름...추세 반전 지표 주목"]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가 "바이낸스 기준 BTC 일봉을 보면, 최근 BTC에 대한 매도 압력은 추세를 이탈할 만큼 강력했지만, 지표 상으로는 아직 과매도 영역에 있지는 않다. 또 거래량 흐름을 바탕으로 자산 가격 변화를 예측하는 모멘텀 지표인 OBV가 현재 2019년 3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있는데, 곧 반전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미디어는 "특히 퍼포스 비트코인 ETF(Purpose Bitcoin ETF)에서는 지난 11일~19일 사이에 3,609 BTC가 유출됐는데, 이 흐름이 점차 둔화되고 있다. 이는 BTC에 대한 매도 압력이 약해지고 있다는 방증이다. 아울러 지난 17일 이후 1,000 BTC 이상을 보유한 ​​주소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도 이 같은 분석에 설득력을 싣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0.52% 내린 21,262.1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페이 프로토콜, FEI 토큰 상환 및 PCV 분배 거버넌스 제안 상정]

유투데이에 따르면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페이 프로토콜(Fei Protocol) 창립자 Joey Santoro가 FEI 토큰을 DAI로 상환하고 TRIBE 토큰 보유자에게 프로토콜 제어 가치(PCV)를 분배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거버넌스 제안을 상정했다. 미디어는 "가장 큰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인 DAI에 FEI를 상환하면 나머지 PCV 준비금은 TRIBE 토큰 보유자에게 돌아갈 예정이다. 트라이브 다오(Tribe DAO)는 최근 몇 개월 간 어려움을 겪어왔고 우리는 기술적, 재정적 어려움으로 최근 몇 개월 간 극심한 어려움을 겪어왔다"고 설명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지난 4월 페이프로토콜이 공격에 노출돼 약 8,00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도난당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FEI는 현재 1.12% 달러 오른 $0.9936 달러에, TRIBE는 9.81% 오른 0.166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우블록체인 "FTX, 아즈텍 zk머니 이용자 계정 동결은 사실"]

샘 뱅크먼 프리드 FTX CEO가 아즈텍(Aztec)의 zk머니로 코인을 보낸 이용자 계정을 FTX가 동결했다는 내용의 우블록체인 보도가 사실이 아니라고 밝힌 가운데 우블록체인이 이에 대해 재반박 했다. 우블록체인은 트위터를 통해 "한 FTX 사용자가 FTX 측과 나눈 대화 일부를 공개한다. 이를 살펴보면, 해당 사용자는 아즈텍과 상호 작용을 한 뒤 FTX로부터 경고를 받았고 일부는 소명 자료 등을 제출한 뒤에야 동결이 해제됐다"고 강조했다. 앞서 샘 뱅크먼 프리드 FTX CEO는 "(우블록체인 보도 내용이) 왜곡됐다. FTX는 AML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거래 모니터링을 강화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계정을 동결하진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북미 전자제품 판매업체 베스트 바이, ETH·SHIB·DOGE 결제 허용]

유투데이에 따르면 암호화폐 결제 솔루션 비트페이가 북미 유명 전자제품 판매업체 베스트 바이(Best Buy)에서 이더리움(ETH)·시바이누(SHIB)·도지코인(DOGE) 결제를 허용한다고 밝혔다. 미디어는 "결제는 비트페이의 기프트 카드를 구매해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모든 지점이 아닌 우선 미국 미네소타 본사에서만 암호화폐 결제를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미국 온라인 전자제품 쇼핑몰 뉴에그(Newegg)도 시바이누(SHIB)를 결제 옵션에 추가한 바 있다.

[도지코인 개발자 "현재 약 28만 DOGE 보유하고 있어"]

코인게이프에 따르면 도지코인(DOGE) 공동 개발자 빌리 마커스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현재 약 280,000 DOGE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그는 지난 2015년 중고 자동차 구매를 이유로 DOGE를 매도해 약 3,000 달러를 현금화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DOGE는 현재 1.50% 오른 0.0699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BAKC#8234, 499,998 USDC에 거래..탈세 의혹]

외신에 따르면 NFT 'Bored Ape Kennel Club #8234'가 499998 USDC에 거래됐다. 사상 최고가 기록이다. 그러나 해당 NFT는 이후 7.41 WETH에 다시 거래되었다. 이에 대해 커뮤니티는 "매수자가 탈세를 위해 해당 거래를 진행한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메이커다오·HVB, 스테이블코인 활용 미국 규제 금융 기관 상업 대출 참여]

헌팅턴 벨리 은행의 자회사 HV Corp(HVB)와 메이커 다오가 스테이블코인(DAI)의 미국 규제 금융 기관 상업 대출 활용을 위한 거래를 완료했다. 이번 거래를 통해 1억 달러 규모의 DAI 스테이브코인이 현지 규제의 보호를 받는 브로커-딜러에 의해 달러로 환전되었으며, 해당 자금은 델라웨어 신탁 계정에 예치되었다. 예치된 자금은 향후 HVB가 대출 자금 조달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번 거래는 규제 적격 금융 기관을 통해 파생된 자산 수익이 DAI 스테이블 코인 운영 수익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휴 W. 코넬리 EVP 최고 대출 책임자는 "메이커DAO 커뮤니티는 규제를 피하려고 시도하기보다는 미국 규제 기관과 협력하여 디지털 통화의 일부를 미국 규제 기준을 수용하고 미국 부동산의 지원을 받는 이자 수익 자산으로 전환하고 수익을 창출했다"고 평가했다.

[유니스왑, 토네이도캐시 관련 주소 253개 차단]

더블록에 따르면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 유니스왑(UNI)이 블록체인 분석 업체 TRM랩스(TRM Labs)와 협력해 최근 4개월 동안 253개의 월렛 주소를 블랙리스트에 올렸다. 미디어는 "차단된 주소 대부분은 최근 미국 재무부의 제재를 받고 있는 토네이도캐시(TORN)와 관련돼 있다. 특히 기존에는 관련 주소를 모두 차단했으나 현재는 제재 대상에 올라와 있거나 해킹 또는 도난 자금을 직접적으로 받은 주소들만 차단했다. 해당 주소들은 유니스왑 개발자 조던 프랑크푸르트(Jordan Frankfurt)가 깃허브에 올린 데이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코인마켓캡 기준 UNI는 현재 0.15% 내린 $7.1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콜롬비아 중앙은행, CBDC 연구 본격 착수]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콜롬비아 중앙은행(Central Bank of Colombia)이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 연구에 착수했다. 미디어는 "콜롬비아는 CBDC의 기능과 편의성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다양한 디지털 지갑을 상호 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콜롬비아가 CBDC 연구에 착수한 배경에는 인근 국가인 브라질이 CBDC 개발에 들어간 것이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앞서 루이스 카를로스 레예스(Luis Carlos Reyes) 콜롬비아 국세청장은 "콜롬비아 정부는 CBDC를 도입할 수도 있다. CBDC를 도입한다면 소비자들이 보다 간편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디자인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gerrard@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