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브리핑] 외신 "SEC 위원장, 여전히 대다수 암호화폐 증권으로 간주" 外

| 토큰포스트 기자

[외신 "SEC 위원장, 여전히 대다수 암호화폐 증권으로 간주"]

미국 투자전문지 배런스(Barron's)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 게리 겐슬러의 연설 원고를 인용, 암호화폐에 대한 그의 생각이 바뀌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미디어는 SEC 위원장이 여전히 대다수의 암호화폐를 증권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암호화폐 거래소를 증권 거래소로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SEC는 발행자 및 거래소의 등록 의무화를 요구할 것이며, 업계는 이에 반발하고 있다. 배런스는 게리 겐슬러의 연설 원고 중에 "암호화폐 업계가 관련 지침을 요구하고 있으나, 메시지를 좋아하지 않는 것은 메시지를 받지 못한 것과 같지 않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고 덧붙였다.

[코인게코 공동 창업자 “ETH PoW 포크 버전 토큰, 에어드랍 받으면 즉각 전량 매도”]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바비옹(Bobby Ong) 코인게코 공동 창업자가 “ETH PoW 포크 버전 토큰을 에어드랍 받더라도 즉각 전량 매도하는 것이 내 계획이다. 더는 필요성이 없어진 죽은 토큰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더리움 머지(PoS 전환)가 오는 13일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ETH 보유자에게는 ETH PoW 토큰 에어드랍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소문에 사고 뉴스에 판다는 오랜 격언처럼 머지 이후 ETH는 순식간에 매수된 뒤 모두 매도될 것이다. 아울러 비트코인 포크에 대한 과거 보고서들을 살펴본 결과, ETH PoW 포크 버전 토큰 종류가 1개 이상일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비트멕스 창업자 "ETH, '돈'으로 설계되지 않았다... BTC과 개념적으로 달라"]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비트멕스 창업자 아서 헤이스(Arthur Hayes)가 인터뷰를 통해 이더리움은 디지털 금으로서 비트코인과 경쟁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더리움은 다르게 설계돼 있다"며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는 다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돈을 벌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더리움은 탈중앙화된 컴퓨터가 되겠다는 목표로 만들어졌다. 나는 이 비전이 지금도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때문에 이더리움을 디지털 금으로 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미 연준 이사 "스테이블코인, 적절하게 규제되지 않을 가능성이 가장 큰 분야"]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부의장인 레이얼 브레이너드(Lael Brainard)가 연준은 디지털달러를 이용해 고객에게 직접 금융을 제공하기 보다 민간은행이 해당 역할을 계속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앙은행은 결제 등 방식으로 개인 비즈니스를 몰아내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스테이블코인을 가리켜 적절하게 규제되지 않을 가능성이 가장 큰 리스크 있는 분야라고 설명, 우려를 제기했다.

[게임스탑-FTX US 파트너십 체결]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비디오게임 유통사 게임스탑(GameStop)이 FTX US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들 기업은 새로운 전자상거래 및 온라인 마케팅 이니셔티브와 관련해 협력할 계획이다. 게임스탑은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향후 FTX 기프트카드를 출시, 일부 매장에 이를 배치할 계획이다. 파트너십 관련 구체적인 조건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중동 최대 대체자산 운용사 인베스트콥, 블록체인 펀드 책임자 고용]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중동 최대 대체자산 운용사 인베스트콥 홀딩스(Investcorp Holdings)가 블록체인 중점 펀드 책임자로 디지털은행 ING 임원 출신인 에르베 프랑수아(Hervé François)를 고용했다. 그는 인베스트콥의 블록체인 전용 펀드를 담당하게 된다. 해당 펀드는 블록체인, 웹3 프로젝트, 암호화폐 거래, 디파이, 데이터 분석 등 기술에 중점을 둔 스타트업에 투자한다. 인베스트콥은 현재 427억달러 이상 자산을 운용하고 있으며, 여러 펀드 조성을 위해 자금 조달을 진행 중이다.

[연준 신임 부의장 "의회, 결제 수단 스테이블코인 규제 신속하게 통과시켜야"]

CNBC에 따르면 전 리플(XRP) 이사회 멤버이자 현 연준 금융감독 담당 부의장인 마이클 바(Michael Barr)가 취임 후 첫 연설에서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 감독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정책 연설을 통해 스테이블코인, 기후 변화 대비, 금융 산업의 안전성 및 공정성에 대한 조치를 촉구했다. 마이클 바는 "의회는 스테이블코인 혹은 다른 자산에 고정된 암호화폐에 대한 포괄적인 규제를 제정해야 한다. 특히 결제 수단으로 디자인된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규제를 신속하게 통과시켜야 한다"며 "암호화폐 산업 및 이로 인한 각종 리스크에 대한 조사를 강화해야 한다. 규제되지 않는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스테이블코인은 재정적 안정성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다. 은행이 암호화폐의 리스크 통제를 위해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암호화폐와 스테이블코인의 부상은 자체적인 암호화폐를 모색하고 있던 연준에게도 도전과제를 안겨줬다"고 전했다.

[바이낸스 "BNB 블록체인, 영지식 롤업 업그레이드 계획 중"]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BNB 블록체인에 대한 거래 시간을 단축하고 수수료를 줄이기 위해 영지식(ZK) 롤업 업그레이드를 계획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거래소는 성명을 통해 내년 ZK 롤업 업그레이드를 진행한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BNB는 초당 5,000~10,000개의 거래를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일론 머스크, 도지코인 펌핑 관련 2580억 달러 규모 소송 휘말려]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2580억 달러 규모의 도지코인 관련 소송에 휘말렸다. 6일(현지시간) 맨해튼 연방 법원에 제출된 수정 소장에 따르면 원고는 일론 머스크와 테슬라, 스페이스X, 보링컴퍼니 등이 2년에 걸쳐 의도적으로 도지코인을 36000% 펌핑 시킨 후 가격이 하락하도록 방치했다고 주장했다. 본질적 가치가 부족한 도지코인이 마케팅에만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처음부터 알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수백억 달러의 이익을 얻었다는 주장이다. 해당 소송은 지난 6월 처음 제기된 것으로, 최근 원고에 보링컴퍼니 등이 추가됐다. 지난 6월 당시 일론 머스크는 인터뷰를 통해 "사람들에게 암호화폐에 투자해야 한다고 말한 적 없다"고 밝힌 후 테슬라, 스페이스X 관련 상품에 도지코인 결제를 도입할 것이라고 재차 언급했다.

[미 통화감독청 청장 대행 "암호화폐 규제 시급성 낮아져...약세장 영향"]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통화감독청(OCC) 청장 대행 마이클 쉬(Michael Hsu)가 최근 뉴욕에서 열린 은행가 모임에서 "시장 약세장 영향으로 금융 규제 기관의 암호화폐 규제 구축에 대한 시급성이 낮아졌다"고 밝혔다. 그는 "테라 붕괴 이후 이어지고 있는 시장 약세로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 기관의 관심이 식어가고 있다. 시급하게 움직였던 과거와는 달리 규제 기관은 좀 더 여유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

[美 버몬트 금융당국 "셀시우스, 재정 관리 불투명...폰지 구조 존재"]

미국 버몬트주 금융규제부(DFR)가 7일 공식 성명을 통해 "파산 절차를 진행 중인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셀시우스(CEL)는 투자자들의 자금을 폰지 구조로 운영했을 수 있다. 이들의 재무건전성은 투자자들을 오도했을 수 있으며, 재정 관리가 불투명했다"며 미국 신탁기구의 독립 심사관 임명 동의안을 지지했다. 이와 관련 DFR은 "조사 과정에서 알렉스 마신스키 셀시우스 최고경영자(CEO)는 회사의 재무건전성과 증권법 준수와 관련, 투자자들에게 거짓과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주장을 했음을 확인했다. 심지어 셀시우스는 자체 토큰인 CEL의 가격을 조작하고, 대차대조표를 조작했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는 개인 투자자들을 희생시켜 셀시우스 내부자들의 배만 채우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앞서 지난 7월 DFR은 셀시우스가 심각한 지급불능 상태에 놓여있다고 진단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CEL은 현재 10.65% 내린 1.3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외신 "BTC 선물 미결제 약정 역대 최대 규모...숏 포지션 증가 영향"]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가 암호화폐 리서치 기관 아케인리서치의 데이터를 인용 "비트코인 무기한 선물 미결제 약정 규모가 약 565,579 BTC(약 106억 달러 상당)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규모를 나타냈다. 종전 최고 수치는 지난 2020년 2월 기록한 548,096 BTC다. 선물 투자자들은 BTC 추가 하락을 전망하며 숏(공매도) 베팅을 늘려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코인데스크는 "해당 데이터는 바이낸스, 바이비트 등 암호화폐 거래소 뿐 아니라 시카고상품거래소(CME)와 같은 전통 상품 거래소 내 포지션을 합쳐 집계한다. 트레이더들은 종종 선물과 현물의 가격 차이, 펀딩 비율 등을 투자 지표로 삼는다. 특히 펀딩비율이 마이너스라면 약세 전망이 우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아케인리서치 소속 애널리스트 베틀 룬데(Vetle Lunde)는 "거래소 내 미결제 약정은 언제나 중립적인 경향이 있지만, 지금은 확실히 BTC 숏 포지션 트레이더들이 공격자의 위치에 있다"고 진단했다.

[ETC그룹, 독일 증권거래소에 PoW 기반 이더리움 ETP 상장 예정]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자산 운용사 ETC 그룹이 작업증명(PoW) 기반 이더리움(ETH) ETP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해당 ETP 상품의 명칭은 ETHWetc로, 독일 증권거래소 도이체뵈르제의 제트라(Xetra)에 9월 16일 이후 상장 예정이며 종목 코드는 ZETW다. 이는 당초 ETC그룹의 이더리움 ETP 상품 ETC Group Physical Ethereum(ZETH)를 자동 대체할 것이며, 기존 이더리움 ETP 보유자는 이더리움 하드포크 발생 직후 ZETW를 지급받을 것이라라고 ETC그룹은 설명했다.

[난센 "커브·컨벡스서 4,500만 달러 출금 주소, 3ac 아닌 매트릭스포트 주소"]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블록웍스에 따르면, 블록체인 분석 플랫폼 난센이 "전날 커브 및 컨벡스파이낸스에서 4,50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출금한 주소는 쓰리애로우캐피털(3ac)이 아닌 비트메인 공동 창업자 우지한이 설립한 암호화폐 금융 서비스 업체 매트릭스포트(Matrixport) 소유 주소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앞서 난센은 '파산한 암호화폐 헤지펀드 쓰리애로우캐피털(3ac) 소유 주소로 라벨링된 주소가 전날 커브 및 컨벡스 파이낸스에서 4,50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출금했다'고 분석한 바 있다. 이와 관련 알렉스 스바네빅 난센 CEO는 "드물지만 우리도 실수를 할 수 있다. 아무도 완벽하지 않다"고 말했다. 매트릭스포트는 암호화폐를 위한 금융 서비스 플랫폼으로, 거래, 차입, 대출, 스테이킹 상품 등을 제공하고 있다.

[알고랜드,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진행...'상태 증명' 도입]

지분증명(PoS) 기반 레이어1 블록체인 알고랜드(ALGO)가 7일 보도자료를 통해 대대적인 프로토콜 업그레이드를 발표했다. 현재 메인넷에 적용된 해당 업그레이드는 신뢰가 필요없는 체인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상태 증명'(State Proofs) 도입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알고랜드 네트워크의 트랜잭션 처리 속도(TPS)를 기존 초당 1,200 건에서 6,000 건으로 제고할 수 있다는 게 알고랜드 측의 설명이다. 상태 증명은 중개자에 대한 신뢰 없이 블록체인을 외부 생태계에 연결할 수 있는 일종의 상호 운용성 표준이다. 이와 관련 실비오 미칼리 알고랜드(ALGO) 창업자는 "블록체인 간 상호운용성은 블록체인의 미래다. 알고리즘과 상태증명은 네트워크 간 통신을 위한 중요한 보안 기능이다. 이 혁신이 블록체인 산업에 보다 나은 미래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3.58% 내린 0.291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BTC 채굴업체 클린스파크, BTC 채굴기 1만 대 추가 구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나스닥 상장 비트코인 채굴 업체 클린스파크(CleanSpark)가 최근 비트메인의 BTC 채굴기 모델 앤트마이너 S19j Pro 1만 대를 추가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구매에 클린스파크는 약 2,800만 달러를 투입했다. 이와 관련 잭 브래드포드(Zach Bradford) 클린스파크 CEO는 "지난해 강세장 말기 때 비트코인 채굴 업계는 몇 달 전부터 채굴기를 예약 주문하는 등 유행처럼 채굴기 추가 구매했다. 우리는 당시의 트렌드에 따르지 않고 인프라 구축에 집중했다. 이번 약세장에서 우리는 보다 할인된 가격에 채굴기를 구매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를 점했다"고 말했다. 앞서 클린스파크는 6월 1,800 대, 7월 1,061 대의 BTC 채굴기를 추가 인수한 바 있으며, 지난 8월 3,400 대를 가동하는 신규 채굴장 시설을 인수했다. 이에 따라 클린스파크의 보유 해시레이트는 올 연말 5 EH/s까지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넥소, 암호화폐 현물·선물·마진 거래 플랫폼 출시]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넥소(NEXO)가 보도자료를 통해 개인 투자자 대상 암호화폐 현물, 선물, 마진 거래 플랫폼 '넥소프로'(Nexo Pro)를 신규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해당 플랫폼은 10 곳 이상의 마켓플레이스와 마켓 메이커의 유동성을 집계, 슬리피지를 최소화 했다는 게 넥소 측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코스타 칸체프(Kosta Kantchev) 넥소 공동 창업자는 "넥소프로는 개인 투자자에게 전문가 수준의 거래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NEXO는 현재 6.23% 내린 0.866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전 블록스트림 CSO "이더리움 머지 중앙화 리스크, 아직 모르는 사람 많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비트코인 맥시멀리스트이자 전 블록스트림 CSO를 역임한 바 있는 샘슨 모우(Samson Mow)가 7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이더리움(ETH) 머지(PoS 전환) 관련 중앙화 리스크는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았으며, 모르는 사람이 많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머지 이후 몇몇 노드 운영자들은 이더리움 머지 일정을 변경, 지연, 심지어 취소시킬 수 있는 막대한 권한을 갖고 있다. 이더리움 머지에 관심을 갖는 모든 사람들이 TTD 임계값이 도달하면 자동으로 머지가 적용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노드 운영자들은 코드 한 줄을 추가해 TTD 값을 덮어씌울 수 있는 힘을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월가 투자은행 번스타인 "BTC 도미넌스 감소, 알트코인 동조화 약화 전망"]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월스트리트 투자 은행 번스타인(Bernstein)이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 내 비트코인(BTC)의 시총 점유율(도미넌스)이 감소하면서 비트코인과 다른 암호화폐와의 상관관계(동조화)가 약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번스타인은 보고서를 통해 "암호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특히 주식시장과의 상관관계(동조화)가 강화되면서 최근 헤지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비트코인은 매크로(거시) 기반 암호화폐가 될 것이며, 나머지 암호화폐들은 기술 기반 암호화폐로 평가되면서 비트코인과의 상관관계가 약화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ECB 관계자 "디지털 유로, 개인 결제 수단에 초점 맞춰 개발 중"]

디지털 유로는 개인 결제 용도로 설계돼 발행될 것이라고 유럽중앙은행 디지털 유로 프로그램 디렉터 에벨리엔 위틀록스(Evelien Witlox)가 7일 밝혔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위틀록스는 유럽경제사회위원회가 주최한 행사에서 "디지털 유로의 세 가지 용도는 가족 친구들 간 거래가 가능한 P2P 결제 수단, 판매자와 소비자 간의 거래 수단, 공과금 지불 수단 등이다. 추후 임금 지불, 기업 간 결제 수단 등 기능도 검토될 수 있다"며 "블록체인 기술이 도입될지 여부는 아직 연구 단계에 있다. 다만 기술이 기능을 주도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앞서 핀란드 중앙은행 총재이자 ECB 통화정책위원인 올리 렌(Olli Rehn)이 "디지털 유로 프로젝트의 기본적인 조사 단계는 2023년 10월 마무리될 예정이며, 이 때 디지털 유로의 본격 도입 여부도 결정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BTC 채굴업체 비트나일, 비트메인 채굴기 1,325 대 추가 발주]

미국 비트코인 채굴업체 비트나일(BitNile)이 7일 보도자료를 통해 세계 최대 암호화폐 채굴기 제조 업체 비트메인에 앤트마이너 S19j Pro 모델 1,325대를 추가 발주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이 추가되며 비트나일은 총 21,925 대의 비트코인 채굴기를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비트나일 창업자 밀튼 토드(Milton“Todd”Ault III)는 "비트코인의 장기적 전망은 밝다. 비트코인 채굴기 추가 배치를 통해 우리의 암호화폐 채굴 사업을 확장할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6.05% 내린 18,739.4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영국 금융감독청 "인플루언서 암호화폐 투자 조언 주의해야"]

UK테크(uktech)에 따르면 영국 금융감독청(FCA)이 6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인플루언서들의 암호화폐 및 외환 거래 관련 재정적 조언을 따라선 안된다"고 경고했다. FCA는 "유튜브와 틱톡 등에서 암호화폐, 온라인 주식 거래 등을 홍보하는 인플루언서들을 신뢰해서는 안된다. 정부와 협력을 통해 온라인 보호법 내 금융 관련 콘텐츠 규제 강화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외신 "엘살바도르 BTC 법화 채택 1주년...가격 떨어졌지만 실패는 아냐"]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엘살바도르가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채택한지 1주년이 됐다. BTC 가격은 지난해 동기 대비 60% 이상 하락했지만, 엘살바도르의 비트코인 실험이 실패했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진단했다. 코인텔레그래프는 "엘살바도르 정부는 지난해 9월 7일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고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며 미국 달러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도입한다고 밝혔다. 엘살바도르는 BTC 법화 도입을 발표한 뒤 대통령이 직접 나서 2,381 BTC를 매입했지만, 현재 약 6,200만 달러의 손실을 보고 있다. 앞서 알레한드로 셀라야 엘살바도르 재무장관은 BTC 가격이 떨어졌지만 보유분을 매도한 적 없기 때문에 아직 손실이 나진 않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엘살바도르의 비트코인 법화 채택이 '실패한 비트코인 실험'이라고 지적하고 있지만, BTC 법화 도입 후 엘살바도르 경제와 금융 시장에 분 훈풍에 '실패하진 않았다'는 의견도 대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피터 시프 "BTC 희소성, 최근 장세에서 중요치 않아"]

대표적인 암호화폐 회의론자이자 금 강세론자인 피터시프 유로 파시픽 캐피털 CEO가 7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BTC가 희소성을 가졌다고 해도 지금 장세에서 이는 중요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그는 "비트코인 가격 급락과 동시에 암호화폐 시장 내 비트코인의 시총 점유율(도미넌스)도 38.1%까지 빠졌다. 이는 2018년 6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BTC 도미넌스가 하락하는 것은 21,000 종에 달하는 알트코인, NFT, 암호화폐 기반 주식 등과 경쟁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본질적으로 가치가 없다. 비트코인은 실제로 희소성을 갖고 있지만 다른 대다수 알트코인들은 그렇지 않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5.73% 내린 18,784.1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시그니처뱅크, 3Q 암호화폐 예금 상품 순유출 42.7억 달러 규모]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뉴욕 소재 암호화폐 친화 은행 시그니처뱅크가 3분기 실적보고서를 통해 이 기간 암호화폐 예금 상품의 순유출 규모는 42.7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시그니처 뱅크는 "이에 비해 비암호화폐 예금에는 26.4억 달러의 순유입이 있었다. 암호화폐 예금 규모는 2분기에 비해 24억 달러 줄었다"고 설명했다.

[LUNC 커뮤니티, 9/10 '트랜잭션 수수료 징수' 제안 투표 진행]

루나클래식(LUNC, 구 LUNA) 소각 관련 소식을 추적하는 트위터 계정 LUNC 번에 따르면, LUNC 커뮤니티가 오는 9월 10일 트랜잭션 당 1.2%의 수수료를 징수하는 내용을 골자로한 거버넌스 제안에 대한 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해당 제안이 통과되면 LUNC는 트랜잭션당 1.2%의 수수료가 부과되며, 모인 자금은 LUNC 소각 주소로 옮겨져 LUNC 공급량 감소를 위해 사용될 계획이다. 다만, 해당 수수료는 온체인 거래에 한해 적용되며, 오늘날 대다수 LUNC 거래는 중앙화 거래소에서 진행되고 있다. 현재 MEXC, 게이트아이오 등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는 해당 안건에 대한 지지 입장을 표명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LUNC는 현재 11.57% 내린 0.000351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외신 "리플 소송 '힌먼 연설' 공개 여부 판결, 시간 걸릴 것"]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게이프가 리플(XRP)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간의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을 지속적으로 추적해온 미국 연방 검사 출신 변호사 제임스 K. 필란(James K. Filan)의 최신 트윗을 인용 "해당 소송의 승패를 가를 수도 있는 중요 증거인 '힌먼 연설'의 공개 여부 판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전했다. 필란의 트윗에 따르면, 힌먼 문서 공개 여부를 놓고 피고와 원고 사이의 합의가 진척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이들은 담당 판사인 토레스 지방판사의 판결을 기다리고 있다. 또 SEC의 항소 가능성까지 감안하면 힌먼 연설의 공개까지 걸리는 과정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힌먼 연설은 리플과 SEC 간 이번 소송의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증거 자료로, 당시 SEC 임원이었던 그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유가 증권이 아니다'라고 언급한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코인마켓캡 기준 XRP는 현재 4.10% 내린 0.320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난센 "3ac, 전날 커브·컨벡스서 4500만 달러 상당 암호화폐 출금"]

블록체인 분석 플랫폼 난센에 따르면 파산한 암호화폐 헤지펀드 쓰리애로우캐피털(3ac)이 전날 커브파이낸스(CRV)와 컨벡스파이낸스(CVX)에서 약 450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출금했다고 밝혔다. 커브파이낸스에서는 20,945 stETH(약 3,300만 달러), 컨백스파이낸스에서는 2,421 WETH(약 400만 달러)와 202.7 WBTC(약 400만 달러), 400만 USDT를 인출했다. 한편 이와 관련 블록웍스는 "지난 6월 파산 신청 이후 3ac는 뚜렷한 대규모 거래를 진행하지 않았다. 전날 출금의 목적도 분명하지 않다. 한 트위터 사용자는 3ac의 출금 움직임은 고래 지갑 보유자들이 이더리움(ETH) 머지(PoS 전환)을 앞두고 활발한 거래를 진행할 것이라고 전망됨에 따라 보다 순조롭게 ETH 포지션을 청산하기 위함이라고 분석했다"고 부연했다.

[인도 중앙은행 부총재 "연내 CBDC 파일럿 프로젝트 출범"]

인도 현지 미디어 디이코노믹타임스에 따르면, T 라비 산카르 인도 중앙은행(RBI) 부총재가 7일 개최된 인도 아이디어 서밋에 참석해 "연내 인도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의 파일럿 프로젝트를 출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CBDC는 국경간 지불을 집행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시스템이다. 다만 CBDC 자체는 현금 없는 사회를 지향한다기 보다 고객들에게 새로운 대안을 제공하기 위함"이라고 강조했다. 또 그는 "최근 이해관계자들로부터 받은 피드백을 반영해 디지털 결제에 대한 정책을 조정하려 한다. 디지털 결제 산업 규모는 연평균 40~50%의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인도 중앙은행은 디지털 결제 인프라의 기술적 안정성을 제고하는 한편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인도 현지 소식통을 인용, 인도 중앙은행이 국영은행 및 핀테크 기업과 CBDC 시범 운영을 검토 중이라고 전한 바 있다.

[벤드다오, ETH 머지 3시간 전부터 관련 거래 일시 중단]

NFT 담보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 벤드다오(BendDAO)가 이더리움 머지(PoS 전환) 3시간 전부터 ETH 입출금, NFT 담보 신규 대출, 상환 등 모든 ETH 관련 거래가 일시적으로 중단된다고 공식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이어 벤드다오는 "머지 완료 후 모든 거래는 정상적으로 가능해지며, 사용자는 ETH 작업증명(PoW) 기반 토큰인 ETHW 출금 등 거래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카르다노 창시자 "거시적 요인보다 기술에 초점 맞춰야"]

카르다노(에이다, ADA) 창시자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이 오늘 오전 트위터를 통해 "지금의 암호화폐 시장은 현실과 단절돼 있다. 카르다노는 그 어느 때보다 강력했고, 다른 여러 프로젝트도 탄탄했지만 이는 반영되지 못했다. 거시적 요인이 항상 승리한다. 하지만 우리는 기술의 진짜 목적에 항상 초점을 맞춰야 한다. 기술이 해결하는 문제, 이전엔 불가능했던 새로운 경험들 말이다. 카르다노는 세상을 바꾸고 있다"고 말했다.

gerrard@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