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 위원장 "CFTC, 암호화폐 현물 규제 관련 더 많은 권한 필요"]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 위원장 게리 겐슬러가 조지타운대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 "일부 암호화폐 현물에 대한 규제 권한을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에 부여하려고 하는 의회의 시도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그는 "CFTC는 현재 증권에 해당하지 않는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 권한을 갖고 있지 않다"며 "CFTC는 더 많은 권한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SEC의 관할권에 속하지 않는 프로젝트는 소수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앞서 그는 "CFTC가 비트코인을 감시하는 데 동의한다"고 밝힌 데 이어 "CFTC와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으며, 의회가 CFTC에 암호화폐 관련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할 경우 계속해 위원회와 협력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암호화폐 전문가들 "리플, SEC와의 소송 승소시 XRP 3.81달러 전망"]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영국 금융 정보 업체 파인더닷컴이 55명의 암호화폐 및 핀테크 전문가를 대상으로 서베이를 진행한 결과, 리플(XRP)이 SEC와의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에서 승소할 경우 XRP 가격이 2025년까지 3.81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으며, 패소할 경우 0.98달러로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암호화폐 거래소 게이트아이오의 PR 및 커뮤니케이션 글로벌 책임자 디온 기욤(Dion Guillaume)은 "리플이 승소할 경우 XRP를 상장폐지했던 거래소가 재상장을 추진할 수 있다. 또한 리플과 머니그램 같은 기업과의 파트너십도 기대할 수 있다. 이는 XRP 가격을 끌어올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영국금융감독청, 디지털 자산 규제 새 책임자 임명]
더블록에 따르면 영국금융감독청(FCA)이 디지털 자산 규제 책임자로 뉴질랜드 금융감독원(FMA)의 전 핀테크 책임자 비누 폴(Binu Paul)을 임명했다. 이에 따라 비누 폴은 디지털 자산 규제 임시 책임자였던 빅토리아 맥로린(Victoria McLoughlin)의 뒤를 잇게 된다. 그는 지난 9월 11일 FMA에서 사임한 바 있다.
[FTX CEO, 2024 대통령 선거 때 10억 기부 발언 철회]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샘 뱅크먼 프리드(Sam Bankman-Fried) FTX 창업자가 다음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최대 10억 달러를 기부하겠다는 자신의 발언을 철회했다. 그는 폴리티코 인터뷰에서 "그 발언은 어리석었다"고 말했다. 지난 5월 그는 "2024 선거 때 1억 달러 이상의 자금을 후원할 수도 있다. 최대 10억 달러까지 생각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저스틴 선 "트론·비트토렌토·후오비 생태계 체인 통합한다"]
저스틴 선 트론 설립자가 트위터를 통해 "트론(TRX)과 비트토렌토(BTT)체인 생태계를 후오비 생태계 체인 HECO와 통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세 체인 생태계 통합을 위해 충분한 투자를 단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美 심 스와핑 암호화폐 탈취 해커, 피해자에 2200만 달러 피해 배상]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이동통신사 AT&T '심 스와핑'(SIM Swapping)을 통해 2400만달러 상당 암호화폐를 탈취한 해커가 피해자 마이클 터핀(Michael Terpin)에게 2200만달러 피해보상금을 지불하기로 합의했다. 마이클 터핀(Michael Terpin)은 2018년 AT&T 심 스와핑으로 2400만 달러 암호화폐를 도난 당했다며 2억 달러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청구한 바 있다.
[엘살바도르 부대사 "엘살바도르, 비트코인 시티 건설 투자 집중"]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네덜란드 주재 엘살바도르 부대사인 엑토르 엔리케 셀라리에 란다베르데(Héctor Enrique Celarié Landaverde)가 "엘살바도르는 비트코인 시티 건설을 위한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며 "비트코인 법정화폐 도입은 확실히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가져다줬다"고 전했다. 이어 "엘살바도르의 꿈은 비트코인 시티를 건설해 사회를 더 크고 강하게 만드는 것"이라며 "더 많은 투자 유치를 위해 노력 중"이라고 덧붙였다.
[美 암호화폐 전문 변호사 "SEC 힌먼 문서 공개, 지연될 수도"]
최근 리플-SEC 소송 담당 지방판사 아날리사 토레스(Analisa Torres)가 SEC에 윌리엄 힌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전 임원이 작성한 문서를 공개하라고 판결한 가운데, 미국 로펌 호건앤호건(Hogan & Hogan)의 파트너 변호사 제레미 호건(Jeremy Hogan)이 트위터를 통해 "판사는 언제까지 공개하라고 명확한 시점을 요구하지 않았다. 통상 60일 정도 소요될 전망이며 만약 SEC가 이에 불복할 경우 절차가 더 지연될 수 있다. 다만 힌먼 문서는 소송의 쟁점인 XRP의 증권 여부에는 큰 역할을 하지 않을 것이다. XRP 증권 여부에 관해선 11월 15일까지 브리핑 제출이 완료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포브스, 2023 50대 블록체인 기업 후보 검토 돌입]
포브스가 2023 50대 블록체인 기업 선정을 위한 후보 검토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50대 기업에 포함되려면 기업가치가 10억달러 이상이거나 연간 매출액이 10억달러를 웃돌아야 한다. 후보 선정 캠페인은 11월 4일까지 진행되며 최종 결과는 내년 2월 발표된다.
[버드와이저, 카타르 월드컵 라이브 스코어 보드 NFT 컬렉션 발행]
더블록에 따르면 2022 피파 카타르 월드컵 공식 후원 브랜드 버드와이저가 피파월드컵 NFT 컬렉션을 14일 19시(한국시간) 발행했다. 해당 NFT는 카타르 월드컵 실시간 스코어보드가 포함됐다. NFT 보유자는 팔로우할 국가를 선택하고 스코어보드 NFT를 민팅할 수 있다. 또 NFT 보유자 전용 디스코드와 미니게임 접속이 가능하며, 도하 월드컵 티켓 이벤트에도 참여할 수 있다.
[스트롱홀드, 비용절감 위해 노던데이터와 호스팅 계약 종료]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채굴업체 스트롱홀드 디지털 마이닝(Stronghold Digital Mining(SDIG))이 비용절감을 위해 독일 소재 암호화폐 채굴 업체 노던데이터(Northern Data)과의 호스팅 계약을 종료했으며, 대차대조표 강화를 위해 부채를 60% 줄였다. 노던데이터와의 계약종료로, 스트롱 홀드는 2024년 9월까지 1000만~2500만 달러 지출을 절감할 수 있게 됐다. 스트롱홀드는 비트코인의 가치하락으로 비용 절감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부채 역시 5,910만달러로 5월 이후 60%가량 낮춘 것으로 알려졌다.
[외신 "카르다노 기반 월렛 사칭 피싱 앱 등장"]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유투데이에 따르면 카르다노(에이다, ADA) 기반 월렛 나미(Nami)를 사칭한 피싱 앱이 등장했다. 공격자는 앱에 접속한 이용자의 시드 문구와 자금을 훔친 뒤 실제 이용자의 나미 월렛에 보관된 자금을 탈취한다. 피싱 앱은 여전히 다운로드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안업체 "망고 공격자, 망고 위원회 월렛으로 780만 달러 규모 토큰 이체"]
블록체인 전문 보안 업체 펙실드(Peckshield)가 "솔라나 기반 탈중앙화 레버리지 거래 플랫폼 망고마켓(MNGO) 공격자가 망고 업그레이드 위원회(Mango Upgrade Council) 관리 월렛으로 780만 달러 상당의 BTC, SOL, mSOL, SRM 등 토큰을 이체했다"고 밝혔다.
[알고랜드 재단, 파생상폼 거래 플랫폼 데리덱스에 투자]
레이어1 블록체인 알고랜드(ALGO) 재단이 ALGO 기반 파생상품 거래 플랫폼 '데리덱스(Deridex)'에 투자한다고 밝혔다. 구체적 투자액은 밝히지 않았다. 데리덱스는 지난 5월 알고랜드에서 테스트넷을 론칭했으며 4분기 내 메인넷을 출시할 예정이다. 메인넷 출시 후 옵션 및 대출 상품도 4분기 내 출시되며, 영구 선물 상품은 내년 1분기 출시된다.
[국제증권위원회 "규제기관, 해외 암호화폐 사이트 차단 권한 가져야"]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국제증권위원회(IOSCO)가 "규제 기관이 해외 암호화폐 사이트 폐쇄 요구 권한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IOSCO는 "핀플루언서(finfluencer)라고 불리는 금융 인플루언서가 부정확한 투자 조언을 제공하고 있을 뿐 아니라, 모바일 게임 앱 등에서 부적절한 금융 상품 구매를 권유하기도 한다. 규제 기관이 이들을 단속할 수 있는 규정이 필요하다. 또 위반이 행해지는 해외 암호화폐 온라인 사이트가 운영되고 있는 국가의 규제 기관이 해당 사이트를 차단시킬 수 있는 새로운 메커니즘이 개발돼야 한다"고 전했다.
[英 의원, 법 집행 기관의 테러 지원 암호화폐 압수 지원 법안 상정]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영국에서 테러 자금 지원에 사용되는 암호화폐 압류를 더 용이하게 하는 내용이 담긴 '경제범죄 및 기업 투명성 법안'에 대한 개정안이 상정됐다. 수엘라 브레이버만(Suella Braverman) 영국 하원의원은 "암호화폐가 테러 목적으로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대한 단속을 강화한다는 내용의 수정안을 발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영국 내무부는 "테러 목적으로 사용됐거나, 사용되었을 수 있는 암호화폐를 압류, 동결, 몰수하는데 필요한 모든 권한을 경찰을 포함한 법 집행 기관이 갖도록 하는 내용"이라고 설명했다. 영국 정부는 지난달 법 집행 기관의 암호화폐 자산 압수, 동결, 회수를 용이하게 하는 경제범죄 및 기업 투명성 법안을 도입한 바 있다.
[DBS 투자전략가 "BTC, 가격보단 유용성 측면에서 이점"]
핀볼드에 따르면 싱가포르 최대 은행 DBS의 투자전략가 Daryl Ho가 최근 미디어 브리핑에서 "비트코인은 가격 변동성 여부와 관계없이 중앙집중화 된 시스템 없이 거래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고유한 특성을 지닌다"고 분석했다. 그는 "비트코인 가격에만 집중하면 실제로 어떤 이점이 있는지 알 수 없다"며 "그보다는 비트코인이 기존 거래소 시스템과 달리 연중무휴 거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현금 유동성 확보에 용이하다는 게 장점"이라고 평가했다.
[부자아빠 가난한아빠 저자 "비트코인, 자산은 보호해도 소득은 보호 못해"]
베스트셀러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Robert Kiyosaki)가 트위터를 통해 "금, 은 그리고 비트코인이 당신의 자산을 보호할 수 있지만 소득은 보호할 수 없다. 경제와 주식시장이 붕괴되고 실업이 증가하는 상황에선 부업(SIDE HUSTLE)이 소득을 보호한다. 당신의 부업이 또다른 아마존, 비트코인으로 성장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블록체인닷컴·크립토닷컴, 러시아 이용자 대상 서비스 제한]
암호화폐 거래소 블록체인닷컴과 크립토닷컴이 러시아 이용자 대상 서비스를 제한하기로 했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블록체인닷컴의 경우 러시아 이용자는 10월 27일까지 커스터디 및 리워드 자금을 출금해야 하며, 그 이후로는 계정 접근이 차단된다. 크립토닷컴은 이미 앱 접속을 차단한 상태다. 두 거래소의 이러한 행보는 앞서 유럽연합(EU)이 러시아에서 유럽으로의 암호화폐 이체를 전면 금지한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NFT 최적화 블록체인 프로젝트 플로우(FLOW) 개발사 대퍼랩스(Dapper Labs)도 EU 제재에 따라 러시아 이용자에 대한 결제 서비스 제공을 중단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리플렛저, NFT 규격화 프로세스 11월 내 도입 전망]
유투데이에 따르면 리플렛저(XRPL)가 웹사이트를 통해 간소화 NFT 발행 프로세스 도입이 11월 중 진행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리플렛저는 버그 발견을 이유로 해당 프로세스를 도입하자는 내용의 XLS-20 제안 투표를 철회 한바 있다. 이후 버그 메커니즘 제거 관련 투표가 80%의 찬성률로 통과됐고, 버그 제거는 빠르면 10월 27일 활성화 될 예정이다. 버그 제거가 정상적으로 이뤄지면 XLS-20 제안 투표가 2주간 재진행되며, 새로운 NFT 발행 프로세스는 11월 10일 도입될 수 있다는 게 리플렛저의 설명이다.
[애널리스트 "최악의 경우 BTC 3500달러 테스트 가능성"]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핀볼드에 따르면 인더머니스톡닷컴 소속 시장 전략가 가레스 솔로웨이(Gareth Soloway)가 "글로벌 거시 환경의 악화로 비트코인이 최악의 시나리오에 직면할 경우 암호화폐는 닷컴버블 기간 아마존 주가(90% 하락)처럼 하락할 수도 있다"며 "이 경우 비트코인이 3500달러까지 급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다만, 비트코인이 성숙해짐에 따라 주식과 디커플링되고 금처럼 취급될 가능성이 높다"며 "비트코인 성장의 관건은 기관 참여 여부이며, 이는 규제 도입과도 관련 깊다"고 분석했다.
[아비트럼브리지, MPOND-ETH 전송 지원]
네트워크 인프라 제공 개방형 프로토콜인 말린프로토콜(POND)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아비트럼브리지가 말린 거버넌스토큰인 MPOND와 ETH 간 전송을 지원한다고 전했다.
[아발란체 브릿지, 지금까지 아발란체로 3200 BTC 전송]
아발란체 C체인 익스플로러 스노우트레이스(Snowtrace) 데이터에 따르면 아발란체 브릿지를 통해 지금까지 아발란체에 전송된 BTC 수가 3278개를 기록했다. 앞서 아발란체 브릿지는 아발란체로의 BTC 전송 지원을 시작했다.
[디파이 렌딩 프로토콜 알케믹스, v2 버전 마이그레이션 완료]
디파이 렌딩 프로토콜 알케믹스(ALCX)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v2 버전 마이그레이션을 완료했다고 14일 발표했다. 이와 관련 알케믹스 측은 "v2 마이그레이션이 완료됨에 따라 v1 프로토콜은 운영되지 않는다. 만약 v1에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는 빌트인 툴을 통해 v2 버전으로 옮겨와야 한다"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ALCX는 현재 3.58% 오른 19.4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웹3 재단, 이퀼리브리움 등 37개 프로젝트에 생태계 보조금 지원]
폴카닷(DOT) 개발사 웹3 재단이 14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 제15차 생태계 지원 프로그램 웨이브(Wave)에 선정된 37개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유저 인터페이스, 체인, 잉크 스마트 컨트랙트, 툴·API·프로그램 언어, 리서치, 월렛 등 분야의 프로젝트들이 선정됐으며, 이퀼리브리움(EQ), 폴카닷JS플러스, 스탠다드프로토콜(STND) 등이 포함됐다. 코인마켓캡 기준 DOT는 현재 5.11% 오른 6.2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바이프로스트, 인센티브 테스트넷 출시...4주간 운영]
멀티체인 미들웨어 플랫폼 바이프로스트(BFC)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바이프로스트 인센티브 테스트넷을 출시했다고 14일 밝혔다. 인센티브 테스트넷은 바이프로스트 메인넷 출시에 앞서 총 4주간 운영될 예정이다. 테스트넷 참가자들은 매주 주간 과제를 수행해 바이프로스트 네이티브 토큰 BFC를 획득할 수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BFC는 현재 6.36% 오른 0.0616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gerrard@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