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권도형 소유 가상화폐 바이낸스에 동결 요청]
검찰이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 소유로 보이는 가상화폐와 관련해, 세계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 측에 동결 조치를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남부지검 관계자는 "바이낸스 측에 (가상화폐 지갑) 동결을 요청한 바 있다. 일부 자료에 대해서는 회신받았다. 그동안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그리고 테더(USDT) 코인 등 범용성이 높은 코인으로 바꿔서 바이낸스를 비롯한 해외 거래소로 빼돌려온 것으로 보인다. 권 씨 등과 관련된 지갑으로 보이는 경우 확인되는 대로 동결 조치를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지난해 10월에도 쿠코인과 오케이엑스 등 가상화폐 거래소 2곳의 협조를 얻어, 권 씨가 은닉을 시도한 것으로 추정되는 가상화폐 950억여원 가량을 동결한 바 있다.
[블룸버그 “CFTC 기소장 언급 바이낸스 VIP 3곳 밝혀져…제인스트리트 등”]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VIP 고객 돈세탁을 도운 혐의 등으로 바이낸스를 기소한 가운데, 해당 VIP 고객 3곳은 제인스트리트, 타워리서치캐피털, 레딕스 트레이딩이라고 블룸버그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도 CFTC의 바이낸스 기소장에 이들 중 한 곳인 라딕스 트레이딩이 언급돼 있다고 전한 바 있다. CFTC는 VIP들이 바이낸스에 유동성 및 거래 수수료를 제공하는 대가로 낮은 거래 수수료와 신속 거래 등을 지원 받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바이낸스는 현재 CFTC의 감시를 피해 플랫폼을 고의로 등록하지 않는 등 파생상품에 관한 규정을 위반한 혐의를 받는다. 또한 VIP 고객의 돈세탁을 돕기 위해 당국의 계좌추적 정보를 빼돌리는 등 8가지 핵심 조항도 위반한 것으로 전해진다.
[中 증시 블록체인 테마주 하락 마감]
중국 증시 A주 블록체인 테마주가 하락 마감했다. 중국 선전거래소 블록체인 50지수는 전날 대비 1.48% 내린 3592.84 포인트를 기록했다. 블록체인, 디지털화폐 섹터는 각각 1.24% 하락, 1.12% 하락 마감했다.
[GMX V2 체인링크 오라클 도입 제안]
GMX 거버넌스 포럼에 체인링크를 GMX V2 오라클 파트너로 삼자는 제안이 올라왔다. 이와 관련 GMX 프로토콜에서 발생하는 수수료의 1.2%를 체인링크 네트워크 서비스에 지급, 향후 GMX가 활용할 저지연(low-latency) 오라클 솔루션 개발, 기술 지원을 제공하게 하자는 게 골자다.
[업비트 4/14 ELF 입출금 일시 중단…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업비트가 엘프(ELF)의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인해 4월 14일 11시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메이커다오, 엔지니어링 핵심 부서 폐지…거버넌스 구조 개혁 일환]
메이커다오 프로토콜 엔지니어링 핵심 부서(PECU) 개발자 데릭(Derek)이 거버넌스 포럼에서 “룬 크리스텐슨 메이커다오 공동창업자가 최근 제안한 거버넌스 구조 개혁안으로 인해 PECU가 폐지된다“고 밝혔다. 기여자에게 작업을 요청하는 방식이 바뀌면서 새로운 프레임워크로 전환이 필요해졌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최근 PECU 핵심 기여자 5명이 이번달 말 프로젝트를 떠나기로 한 것도 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앞서 크리스텐슨은 탈중앙화 가속화를 위한 ‘엔드게임 플랜’을 제안했고, 커뮤니티 투표로 제안이 통과됐다.
[호주 은행 ANZ, CBDC 활용 탄소배출권 거래 테스트 완료]
호주뉴질랜드은행(ANZ)이 호주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파일럿의 일환으로 CBDC를 활용한 탄소배출권 거래 테스트를 완료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이번 테스트에서 ANZ는 탄소배출권을 토큰화한 뒤 ANZ 자체 스테이블코인 A$DC를 통해 토큰화된 탄소배출권을 매수했다. 호주 CBDC는 A$DC 발행에 쓰였다. 지난달 호주 중앙은행은 수개월 내 CBDC 파일럿 테스트를 진행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트레이더 "메이커다오 핵심 기여자 5명, 이달 말 프로젝트 떠난다"]
암호화폐 해지펀드 트레이더 디파이 치타(@DeFi_Cheetah)가 “메이커다오 핵심 기여자 5명이 이번달 말 프로젝트를 떠난다“고 트윗했다. 그는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중요한 시그널이다. 메이커다오는 힘든 시간을 보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웹3 커뮤니티 참여 플랫폼 질리 $350만 프리시드 투자 유치]
finsmes에 따르면 웹3 커뮤니티 참여 플랫폼 Crew3는 Zealy로 리브랜딩 하고, $350만 프리시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레드알파인(Redalpine) 주도로 더샌드박스, POAP, DFNS 등이 참여했다. 투자금은 엔지니어링, 프로덕트, 디자인 팀 성장에 사용된다.
[빗썸 오늘 15시 ELF 입출금 중단…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빗썸이 엘프(ELF)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인해 오늘 15시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블룸버그 "싱가포르 당국, 은행의 암호화폐 업체 계좌 개설 지침 마련 중"]
싱가포르 당국이 은행의 암호화폐 업체 계좌 개설에 대한 심사와 관련해 새로운 지침을 내놓을 계획이라고 블룸버그가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해당 프로젝트는 6개월간 진행됐으며 싱가포르 중앙은행과 경찰 당국도 협력하고 있다. 이와 관련 실사 및 위험관리 등 분야의 모범 사례를 정리한 보고서가 2개월 내 발표될 것이라고 소식통은 말했다. 다만, 지침이 있더라도 은행은 자율적으로 계좌 개설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싱가포르 통화청은 블룸버그에 “은행이 암호화폐 사업자와 협업하는 것을 금지하는 규정은 없다. 은행이 편익과 리스크를 고려해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디파이 프로젝트 탈라, 앱토스 메인넷서 디앱 출시]
앱토스(APT) 생태계 디파이 프로토콜 탈라(Thala)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한국시간 기준 6일 오전 9시 앱토스 메인넷 상에 디앱 배치를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외신 "그레이스케일 GBTC 올해 가격 상승률 95%, BTC보다 높아"]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세계 최대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그레이스케일(Grayscale Investments)가 운용하는 비트코인 투자 신탁 GBTC의 올해 가격 상승률은 약 95%로 BTC 가격 상승률 72%를 상회했다. BTC 현물 대비 가격 할인율은 1월 50%에서 현재 약 40%로 좁혀졌다. 또 그레이스케일의 이더리움 투자 신탁 ETHE는 올들어 83% 상승해 ETH 가격 상승률 60%를 웃돌았다. ETH 현물 대비 할인율 역시 연초 60%에서 51%로 좁혀졌다.
[3ac 공동 창업자 창업 신규 거래소 OPNX 트위터 계정 차단]
파산한 암호화폐 헤지펀드 쓰리애로우캐피털(3ac)의 공동 창업자 카일 데이비스(Kyle Davies)와 쑤주(Su Zhu) 등이 새로 창업한 암호화폐 거래소 오픈익스체인지(이하 OPNX)의 트위터 계정이 차단됐다. 구체적인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일본 거래소 코인트레이드, 보안 개선 위해 파이어블록과 파트너십]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트레이드(CoinTrade)가 블록체인 인프라 개발 업체 파이어블록(Fireblocks)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포캐스트가 전했다. 이를 통해 코인트레이드는 기관 고객 서비스 보안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파이어블록은 콜드월렛 및 분산형 프라이빗키 공유 솔루션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비유동적 BTC 공급량 1505만개…역대 최대]
암호화폐 온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글래스노드에 따르면 비유동적 BTC 공급량이 1505.6만개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비유동적 BTC 공급량은 블록체인 애널리스트 윌 클레멘트(Will Clemente)가 처음 개발한 지표로 외부 이체 이력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지갑에 보관된 BTC 물량을 일컫는다.
[메이커다오 창업자, 12일 만에 MKR 매입 재개]
온체인 분석가 비트코인엠버에 따르면 메이커다오 공동 창립자 룬 크리스텐슨(Rune Christensen)이 12일 만에 MKR 매입을 재개했다. 전날 룬은 120만 LDO를 외부로 이체한 뒤 15만 LDO를 매도하고 569 MKR을 사들였다. 룬은 2022년 11월 14일부터 지금까지 총 1257만 LDO를 매도하고, 27257 MKR을 매입했다. 현재 보유량은 117531 MKR($8094만), 3237000 LDO($826만)다.
[코인원 PURE 서비스 안정화 위한 출금 일시 중단]
코인원은 오늘 11시 45분부터 퓨리에버(PURE) 서비스 안정화를 위한 출금을 일시 중단했다고 공지했다.
[zkSync 기반 무기한 스왑 프로토콜 인크러먼트, 자체 토큰 INCR 출시]
영지식 증명 기반 이더리움(ETH) 롤업 레이어2 네트워크 zkSynk Era 기반 탈중앙화 무기한 스왑 프로토콜 인크러먼트(Increment)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자체 거버넌스 토큰 INCR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INCR은 인크러먼트 생태계 필수 인프라 구성 요소를 투표, 관리, 큐레이션하는 데 사용된다. 현재 초기 커뮤니티 물량 에어드랍 대상자는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INCR 토큰 지급을 신청할 수 있다.
gerrard@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