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 마켓플레스 일일 거래 수, 지난 2021년 이후 최저치 기록]
듄애널리틱스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19일(현지시간) 오픈씨, 블러, 룩스레어 등 NFT 마켓플레이스의 총 NFT 거래 건수가 1만6149건으로 지난 2021년 11월 9일(1만2910건) 이후 가장 적은 수를 기록했다. 같은 날 오픈씨의 고유 사용자 수는 7455명을 기록했는데, 이는 2021년 7월 31일 이후 약 1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블러의 이날 고유 사용자 수도 1777명을 기록, 90일 만에 최저 수치를 기록했다. 코인데스크는 이에 대해 "최근 7일간 NFT 마켓플레이스의 판매, 사용자 데이터가 감소하고 있으며,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고 전했다.
[메이커다오, 코인베이스 커스터디로 최대 5억 달러 USDC 이체 제안 통과]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메이커다오(MakerDAO)가 코인베이스 커스터디(Coinbase Custody)에 실물 자산(real world assets·RWA) 볼트를 개설, 해당 볼트에 최대 5억 달러의 USDC를 이체하는 내용의 제안서를 통과시켰다. 예치로 인한 수익률은 연간 2.6%다. 해당 제안서는 코인베이스 커스터디가 해당 자산을 대출, 재투자 등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코인베이스는 토큰을 콜드 월렛에 보관할 예정이다. 지난해 말 메이커다오는 최대 16억 USDC를 코인베이스 프라임 계정에 예치하는 내용을 골자로한 거버넌스 제안을 통과시킨 바 있다.
[나이지리아 암호화폐 거래소 록쿠, 남아공서 운영 라이선스 획득]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나이지리아 암호화폐 거래소 록쿠(Roqqu)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운영 라이선스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록쿠는 사용자는 암호화폐를 구매하고 남아공 법정화폐(랜드)로 자금을 인출할 수 있게 됐다.
[리플 고문 "유럽, 미카 통과로 암호화폐 규제 진전 이뤄"]
유럽연합(EU) 의회가 암호화폐 규제 관련 법안인 MiCA(미카)를 통과시킨 가운데 리플(XRP)의 국제 정책 담당 고문 수잔 프리드먼(Susan Friedman)이 트위터를 통해 "미국이 규제 명확성을 제공하는 것 보다 집행에 더 초점을 맞추는 사이 EU는 암호화폐 규제에 대해 합리적이고 진보적으로 접근해 큰 진전을 이뤘다. 우리는 유럽 시장에서 더 큰 성장을 도모할 것"이라고 밝혔다.
[나스닥 상장 파워브릿지, 1200대 BTC 채굴기 매입]
전(CISION)에 따르면 나스닥 상장 트레이드 소프트웨어 솔루션 기업 파워브릿지 테크놀러지(Powerbridge Technologies)가 비트코인 채굴기 아발론 A1346 1200대를 매입했다. 해당 모델은 대당 104TH/s의 해시레이트를 제공하며 성능, 안정성, 사용 편의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기업은 암호화폐 시장 내 장기적 전략에 따라 채굴기 매입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미 SEC "브로커, 암호화폐 제안 전 리스크, 투자 적합성 등 고려 필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브로커는 암호화폐 투자 제안 전 해당 상품의 리스크 등을 분명히 이해, 관련 의무를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EC는 "브로커 및 어드바이저는 암호화폐 투자를 추천하기 전 해당 상품의 리스크 등을 고려, 해당 투자가 최선인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일부 암호화폐 상품의 경우, 복잡성 및 추가 리스크 요소가 있다. 때문에 기업과 금융 전문가도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때문에 이를 추천하기 전 고객이 해당 상품을 이해하고 있는지, 상품이 고객의 파이낸셜 조건에 적합한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외신 "홍콩 암호화폐 ETF 일평균 거래량 119만 달러 불과"]
래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초까지 홍콩에 상장된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ETF의 일일 평균 거래량이 약 119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최근 적극적으로 암호화폐 기업을 유치하고 있는 홍콩 당국 움직임에 비해 다소 실망스러운 수치로 해석됐다. 미국 CME 그룹에 상장된 BTC, ETH의 ETF 일평균 거래 규모(30억 달러)와, 뉴욕증권거래소 아카(NYSE Arca)에 상장된 ProShares Bitcoin Strategy ETF의 일평균 거래량(1억 9600만 달러)에 비해 크게 못 미치는 수치라고 미디어는 지적했다.
[웹3 보안업체 실드, 210만 달러 규모 시드 투자 유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웹3 보안회사인 실드(Shield)가 210만 달러 규모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에는 크라켄벤처스, 이터나캐피털, 알케미, 문페이 등이 참여했다. 실드 공동창업자 엠마누엘 우도통(Emmanuel Udotong)은 "투자금을 엔지니어링 팀 조성 및 웹3 연구 개발을 위해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은 메스터 "연준 금리인상 사이클 막바지"]
미국 클리브랜드 연은 총재 로레타 메스터(Loretta Mester)가 20일(현지시간) 연설에서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상 사이클이 막바지에 다다르고 있다. 연준은 기준금리를 5.00%까지 인상하고 이를 당분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월러 美 연준 이사 "금융 기업, 암호화폐 사업 시작할 때 '양면성' 고려해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크리스토퍼 월러(Christopher Waller) 이사가 20일(현지시간) 연설을 통해 "암호화폐와 같은 '혁신'을 도입할 때 반드시 이에 대한 '양면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암호화폐가 금융 포용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지, 아니면 새로운 리스크를 생성하거나 기존 리스크를 악화시킬지를 살펴봐야 한다. 은행과 금융 중개 업체가 암호화폐 관련 사업을 시작하기로 결정했다면 보안이 확립된 상태에서 이를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UAE 소재 블록체인 개발사 베놈 재단, 다음주 테스트넷 출시 예정]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소재 블록체인 플랫폼 베놈 재단(Venom Foundation)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다음주 테스트 네트워크를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개발자는 베놈 테스트넷 버전을 통해 블록체인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 등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일반 사용자는 거래 이체를 테스트할 수 있다. 베놈 재단은 앞서 아랍에미리트 국제금융센터인 아부다비 글로벌마켓(ADGM) 금융서비스 당국으로부터 운영 라이선스를 취득한 바 있다.
[바이낸스 자선단체, 핀테크 스타트업 지원 위해 100만 달러 투자]
핀볼드에 따르면 바이낸스 산하 자선단체 바이낸스 채러티(Binance Charity)가 핀테크 스타트업 지원을 위해 글로벌 개발 기구 머시 캅스 벤처스(Mercy Corps Ventures)에 100만 달러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이와 함께 이들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바이낸스 채러티와 머시 캅스 벤처스는 최대 5개 기업을 선정할 계획으로, 기업은 자금 지원 뿐만 아니라 리소스, 전문 지식 등 지원도 받게 된다.
[메트로폴리탄커머셜뱅크 "암호화폐 사업 종료 계획, 마무리 단계"]
지난 1월 암호화폐 관련 서비스를 중단하겠다고 발표한 메트로폴리탄커머셜뱅크가 현재 암호화폐 관련 예치금을 단 2억 7850만 달러만 남겨두고 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지난 18일(현지시간) 메트로폴리탄 커머셜뱅크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서류에는 "앞서 언급한 암호화폐 관련 사업 종료 계획이 거의 마무리됐다. 3월 말 기준 암호화폐 고객을 제외한 총 예치금은 49억 달러이며, 암호화폐 관련 예치금은 2억 7890만 달러에 불과하다"고 게재됐다.
[암호화폐 VC 코인펀드 회장 "미국, 암호화폐 시장서 뒤처질 위험 있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의 고문이자 암호화폐 중심 벤처 캐피털이 코인펀드의 회장인 크리스 퍼킨슨(Chris Perkins)이 "미국은 암호화폐 혁신에서 뒤처질 위험에 처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10가지 암호화폐 규제 원칙'을 발표하고, "유럽연합(EU) 의회의 암호화폐 규제 관련 법안인 MiCA(미카)가 방금 통과됐고, 홍콩은 최근 암호화폐 시장의 문을 열었다. FTX 붕괴 이후 미국이 반 암호화폐적 규제에 갇혀있는 사이, 다른 나라들이 암호화폐 시장의 기회를 인식하기 시작하고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전했다.
[이더리움 가스비 102 Gwei 수준으로 상승]
이더스캔(Etherscan)에 따르면 현재 이더리움 가스비(수수료) 중간값이 102 Gwei 수준으로 상승했다.
[올해 이더리움 개발자 회의, 11/13 이스탄불서 일주일간 개최]
이더리움(ETH) 재단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올해 이더리움 개발자 회의(DevConnect)는 11월 13일(현지시간)부터 19일까지 일주일간 터키 이스탄불에서 개최된다고 밝혔다. 이더리움 재단은 지난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첫 개발자 회의를 개최한 바 있다.
[인투더블록 "일부 온체인 지표 쓰리콤마스 앱에 연동"]
블록체인 분석 회사 인투더블록(IntoTheBlock)이 공식 미디엄을 통해 암호화폐 자동거래 봇 플랫폼 쓰리콤마스(3Commas)와 파트너십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파트터십을 통해 인투더블록의 온체인 지표 중 일부가 쓰리콤마스 플랫폼 앱에 연동된다
[디포스, 기본 모듈식 DEX 테스트넷 출시]
디파이 프로토콜 디포스 네트워크(DF)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기본 모듈식 DEX 테스트넷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해당 DEX는 제로 수수료 기본 풀, 자본 효율성 제고, 유동성 레버리지 등이 특징이라고 디포스는 설명했다. 디포스는 "이 DEX는 모듈식 아키텍처로 제작돼 변동성 자산은 물론 고정 및 안정자산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한다. 이 가운데 변동성 자산은 유니스왑(UNI) V2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프로젝트 갤럭시, zkSynk 지원]
웹3 자격 증명 데이터 네트워크 Galxe(GAL, 구 프로젝트 갤럭시)가 트위터를 통해 롤업 레이어2 네트워크 zkSynk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확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갤럭시는 설명했다. 또 갤럭시는 셀러네트워크 등 9개 프로젝트도 zkSynk 관련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테이블랜드, 시리즈 A 라운드서 800만 달러 투자 유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탈중앙화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랜드(Tableland)가 시리즈 A 라운드에서 80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라운드는 코인펀드가 주도했으며, 멀티코인 캐피털, 블루야드, 에이 캐피털 등이 함께 참여했다. 투자금은 테이블랜드의 메인넷 출시, 새로운 개발자 도구 출시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1인치, zkSync Era에 배포]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탈중앙화 거래소(DEX) 애그리게이터 플랫폼 1인치(1INCH)가 영지식 증명 기반 이더리움(ETH) 롤업 레이어2 네트워크 zkSync Era에 배포됐다.
[브라질 검·경, '바이낸스' 수사 착수...파생상품 불법 제공 혐의]
현지 미디어 발로(valor)가 공식 문서를 인용해 브라질 연방 검찰과 경찰이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에 대해 불법 파생상품 제공 혐의로 공동 수사에 착수했다고 보도했다. 검경은 브라질 증권거래위원회(CVM)로부터 바이낸스가 금융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보인다는 내용을 통보 받은 뒤 정식으로 수사를 개시했다. 미디어는 "앞서 CVM은 지난 2020년 바이낸스에 파생상품 판매 중단 및 포르투갈어 서비스 중단을 명령했다. 당시 바이낸스는 서비스를 중단하기는 했으나, 브라질 고객들에게 해외판 우회 웹사이트 이용을 독려한 사실이 적발됐다. 이에 바이낸스는 지난 2월 CVM에 제재 전 협의를 갖자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낸스는 '브라질에서 파생상품을 제공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바이낸스는 지난해 10월 브라질 상파울루 및 리우데자네이루에 사무실을 개설한 바 있다.
[홍콩증권거래소 "ETF 등 간접투자 통한 가상자산 시장 진입 권고"]
홍콩증권거래소가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에서의 ETF·가상자산 생태계 개발'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내고 "ETF 등 간접투자를 통해 가상자산 시장에 진입하는 것이 투자자에게 더 안전하고 리스크 관리도 수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가상자산은 암호화폐 거래소 등을 통해 직접 매매할 수 있다. 간접적으로는 블록체인 기업에 대한 주식을 매수하거나, 암호화폐 선물 및 ETF, 펀드에 투자할 수도 있다. 우리는 직접 투자보다는 간접 투자를 통해 가상자산 시장에 접근하는 것이 보다 적절하다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레이어1 프로젝트 아이언피쉬, 메인넷 출시]
더블록에 따르면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아이언 피쉬(Iron Fish)가 메인넷을 출시했다. 미디어는 "아이언 피쉬는 개인정보보호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지난 2022년부터 올 1분기까지 총 3단계에 걸쳐 테스트넷을 내놓았다. 가장 최근 테스트넷을 종료할 때, 노드 수는 총 60,000개 이상으로 집계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아이언피쉬는 지난 2021년 앤드리슨 호로위츠가 주도한 시리즈A 라운드에서 2760만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방코르, 온체인 거래 플랫폼 '카본' 출시]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탈중앙화 거래소 프로젝트 방코르(Bancor, BNT)가 온체인 거래 플랫폼 카본(Carbon)을 출시했다. 방코르는 "카본은 중앙화 거래소의 거래 기능을 통해 자동화 마켓 메이커(AMM)의 투명성을 높여 탈중앙화 거래소의 편의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ENS, 문페이와 파트너십...법정화폐로 도메인 네임 구매 가능]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이더리움네임서비스(ENS)가 암호화폐 결제 스타트업 문페이(MoonPay)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사용자들은 법정 화폐로 .eth 도메인 네임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코인마켓캡 기준 ENS는 현재 0.25% 내린 13.2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베라체인, 시리즈 A 라운드서 4200만 달러 투자 유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디파이 기반 레이어1 블록체인 베라체인(Berachain)이 시리즈 A 라운드에서 4억2691만 달러 밸류에이션으로 420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라운드는 폴리체인 캐피털이 주도했으며, 핵(HACK) 벤처캐피털, DAO5, 트라이브 캐피털, 시마 캐피털, 로봇 벤처스, 기타 CEX 등이 참여했다.
[윈터뮤트, 코인루츠와 유동성 공급 파트너십 체결]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마켓메이킹 업체 윈터뮤트가 암호화폐 거래 전문 알고리즘 매매 소프트웨어 개발사 코인루츠(CoinRoutes)에 유동성을 제공하는 내용의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윈터뮤트는 코인루츠 이용자가 플랫폼을 통해 유동성 공급자에 대한 선택권을 더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코어위브, 시리즈 B 라운드서 2.21억 달러 투자 유치]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클라우드 컴퓨팅 채굴업체인 코어위브(CoreWeave)가 시리즈 B 라운드에서 2억 2,10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는 매그니터 캐피털이 주도했으며, 엔비디아, 전 깃허브 CEO 냇 프리드먼, 전 애플 임원 다니엘 그로스 등이 참여했다. 이번 투자금은 새로운 센터 개설과 데이터 센터 확장에 사용될 예정이다.
[제로엑스, 암호화폐 개발자 위한 API 5종 출시]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탈중앙화 거래소 인프라 제공업체 제로엑스(ZRX)가 암호화폐 개발자를 위한 API 서비스 5종을 출시했다. 대표적으로는 개발자가 100개 이상의 거래소를 연결할 수 있는 스왑 API, 가스 수수료 없이 거래를 지원하는 Tx 릴레이 API 등이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ZRX는 현재 0.99% 오른 0.281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gerrard@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