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6월 생산자물가도 '둔화세' 가속화....전년 및 전월 대비 0.1% 상승]
미국 물가 상승세 둔화를 가리키는 지표가 잇달아 확인되고 있다. 6월 소비자 물가에 이어 생산자 물가가 예상보다 빠른 둔화세를 보이며 추가 긴축에 대한 시장 긴장감을 완화시켰다. PPI는 생산자 판매 가격에 따른 물가지수다.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소매 물가, PPI는 도매 물가에 해당한다. 시장은 통상 1~2개월 시차를 두고 PPI가 CPI에 반영된다고 보고 있다. 11일(현지시간) 미국 노동통계국은 올해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년 동월 대비 및 전월 대비 각각 0.1%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美 유명 벤처투자자 "XRP≠증권이면 ETH·BNB·SOL 등도 비증권"]
미국 뉴욕 소재 블록체인 전문 벤처캐피탈 플레이스홀더(Placeholder)의 파트너 크리스 버니스크(Chris Burniske)가 XRP가 증권이 아니라면 다른 8개 알트코인도 비증권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해당 암호화폐는 ETH·BNB·ADA·SOL·MATIC·ATOM·FIL·ICP 등 8종이다. 그는 "단, 이는 법적 의견이 아니라 상식적인 수준에서의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특정 고래, 바이낸스로 2400만 USDC 이체]
비트코인엠버에 따르면 따르면 특정 고래가 오늘 새벽부터 3차례에 걸쳐 총 2400만 USDC를 바이낸스로 이체했다. 해당 고래는 6월 22일부터 총 9200만 USDC를 바이낸스로 이체한 뒤 1만29996 ETH(약 2500만달러), 1435 MKR(약 134만달러)를 매입, 출금한 바 있다.
[NFT 마켓 조라, '슬픈 겐슬러' 무료 NFT 발행]
NFT 마켓플레이스 프로토콜 조라(ZORA)가 리플(XRP)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간 소송 결과를 기념하기 위해 '슬픈 프로그래매틱 겐슬러(Sad Programmatic Gensler)'라는 이름의 NFT를 발행했다. 이는 미국 법원이 해당 소송에서 '개인들에게 프로그래매틱(programmatic) 방식으로 판매된 XRP는 증권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에 착안해 만들어졌다. 이 NFT는 약 24시간 동안만 무료로 제공된다.
[BNB 체인에 Aave V3 배포 추진...투표 진행 중]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아베(AAVE) 커뮤니티가 BNB 체인에 Aave V3를 배포하자는 거버넌스 제안에 대한 투표를 시작했다. 투표 마감일은 7월 16일(현지시간)까지다.
[패러다임 이사 "美 법원 토큰 증권성 판단, 특정 사실관계·상황 고려"]
암호화폐 투자사 패러다임(Paradigm) 정책 담당 이사 저스틴 슬로터(Justin Slaughter)가 트위터를 통해 "리플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소송 판결문을 뜯어보면 이제 미국 법원은 '특정 기준'으로 암호화폐의 증권성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실과 상황'에 따라 판단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법원은 XRP 자체를 증권이나 상품이 아니라, 때로는 증권에, 때로는 비증권에 해당한다고 봤다. 법원은 판결문 내 각주를 통해 2차 판매의 투자 계약 여부는 특정 계약 또는 계획의 사실과 상황에 달려 있다고 설명했는데, 바로 이 부분이 중요한 시사점이다. 법원은 기관에 XRP를 판매한 것은 증권에 해당하지만, 개인들에게 프로그래매틱(programmatic) 방식으로 판매된 XRP는 증권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체인링크, 안랩블록체인컴퍼니와 파트너십 체결]
쟁글에 따르면 체인링크(LINK)가 안랩블록체인컴퍼니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안랩블록체인컴퍼니는 비수탁형 지갑인 ABC Wallet을 통해 사용자에게 웹3 디앱 연결 및 NFT/가상자산 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새로 출시된 빅스캔(BICScan) 서비스의 법정화폐 가격을 표시하는 데 LINK 가격 피드를 활용했다. 안랩블록체인컴퍼니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가격 피드 기능을 확대하고 웹3 솔루션 고도화 작업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메사리 CEO "SEC, 암호화폐 부문서 쓸모없다"]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업체 메사리의 라이언 셀키스(Ryan Selkis) 최고경영자(CEO)가 트위터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리플(SEC 패소)과 그레이스케일(SEC 패소 진행 중), 코인베이스(SEC 패소 예정)을 공격했다. 또 셀시우스(사기), FTX(사기·뇌물수수), 제네시스(사기)를 조사했다. SEC는 주식은 몰라도 암호화폐에 대해서는 객관적으로 쓸모가 없다"고 밝혔다. 라이언 셀키스는 SEC가 바이낸스와 코인베이스를 증권법 위반 혐의로 제소했을 때 "게리 겐슬러 위원장은 약자를 괴롭히는 악당"이라 지적한 바 있다.
[크라켄 프로, XRP 거래 재개]
전문 트레이더를 위한 크라켄 프로(Kraken Pro)가 크라켄에 이어 리플(XRP) 거래를 재개했다. 크라켄 프로 USD, USDT, BTC, EUR, GBP, ETH, CAD, AUD, JPY 9개 마켓에서 XRP를 거래할 수 있다.
[넥소 "전 임원, $1200만 코인 든 하드월렛 가지고 퇴사"]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넥소(NEXO)는 조지 슐레브(Georgi Shulev) 공동 설립자가 $1200만 이상 암호화폐가 보관된 하드월렛을 가지고 퇴사했다고 주장하며 2022년부터 영국에서 소송 중이라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넥소는 슐레브가 17.3 BTC, 27000 USDT, 4.5 ETH 및 상당량의 BNB, XRP, XML을 은닉하고 있다고 주장 중이다. 현재 하드월렛에 보관된 암호화폐는 사라진 상태다. 슐레브는 지분 문제로 넥소가 설립된 2019년 회사를 떠났다.
[S&P "미 연준, 내년 6월까지 금리 인상 중단 전망"]
국제신용평가업체 스탠다드앤푸어스(S&P)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가 내년 6월까지 금리 인상을 멈추고, 그때부터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美 공화당 하원 "XRP 판결, 기념비적 사건...법 제정 나설 것"]
톰 에머(Tom Emmer) 미국 공화당 하원 원내대표가 트위터를 통해 "SEC-리플 케이스는 토큰이 투자계약에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는 별개의 자산으로 나눠진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데 기념비적인 사례다. 이제 이를 법으로 제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앞서 발의했던 '증권 투명성법'이 이러한 개념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미국 가치에 맞는 규제적 신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코인원, 오늘 MASK 상장]
코인원이 오늘 원화마켓에 마스크네트워크(MASK)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입금은 오전 10시 오픈된다.
[지난 24시간, 주요 거래소서 $5386만 XRP 포지션 강제 청산]
코인글래스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24시간 주요 거래소에서 5386만달러 규모의 XRP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BTC 선물 포지션은 6186만달러, ETH은 4129만달러 상당이 청산됐다. 지난 24시간 암호화폐 선물 포지션 청산 규모는 2.6억 달러 규모였다.
[美 SEC "법원, 리플 측 공정고지 주장 기각"]
폭스비즈니스 기자 엘리노어 테렛(Eleanor Terrett)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리플 소송과 관련해 "법원은 이번 판결을 통해 리플이 특정 상황에서 증권법을 위반해 투자 계약 형태로 XRP를 제공하고 판매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법원은 하위테스트가 암호화폐 증권성 판단에 적용 가능하다는 SEC의 의견에도 동의했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러면서 "법원은 리플이 주장하는 투자계약 해석을 인정하지 않았고, 다양한 유형 및 무형 자산이 투자계약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판시했다. 아울러 하위 테스트는 명확하며, 이를 몰랐다고 주장하는 것은 증권법 위반에 대한 방어 논리가 아니라는 점을 지적하며 리플의 공정고지 주장도 기각했다. 우리는 이번 판결 내용을 계속해서 들여다볼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법원은 오늘 새벽 2차시장(거래소)에서 판매된 XRP 토큰은 증권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지난 24시간 업비트 XRP 거래량 $21억...전세계 1위]
코인게코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24시간 업비트 XRP 거래량이 21억달러로 전세계 주요 거래소 XRP 거래량 1위를 차지했다. 그 다음 바이낸스(17억달러), OKX(5억달러)순이었다. 이와 관련 우블록체인은 "한국 투자자들이 이번 XRP 급등에 상당한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 13일(현지시간) 미국 법원은 거래소 내 XRP 판매는 투자 계약이 아니며, 증권으로 볼 수 없다는 판결을 내린 바 있다.
[오늘 $11.31억 상당 BTC·ETH 옵션 만기]
암호화폐 옵션 거래소 데리비트에 따르면 한국시간 기준 14일 17시 $7.75억 상당의 비트코인 옵션이 만기 도래한다. 풋/콜 비율은 0.56, 맥스페인(max pain, 가장 많은 옵션 매수자가 프리미엄을 잃는 가격대) 가격은 30,500달러다. 아울러 같은 시간 $3.55억 상당의 이더리움 옵션도 만기 도래한다. 풋/콜 비율은 0.65, 맥스페인 가격은 1,900달러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60...투심 개선]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 대비 3포인트 오른 60을 기록했다. 투심이 개선됐으며 탐욕 단계가 지속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gerrard@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