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中 법원 "가상자산, 합법적 재산으로 보호받아야...당국 임의적 몰수·반환 불가" 外

| 하이레 기자

[中 법원 "가상자산, 합법적 재산으로 보호받아야..당국 임의적 몰수·반환 불가"]

중국인민법원이 가상자산이 현행법 상 합법적인 재산으로 법적 보호를 받는다는 내용의 논평을 내놨다. 이에 따라 사법기관이 적절한 절차 없이 가상자산을 압수 또는 몰수 할 수 없다는 내용도 담겼다. 중국인민법원의 공식 기관지인 중국인민법원보간에서 '가상화폐의 재물속성 인정 및 관련 안건 재산 처리 문제'라는 제목의 논평을 게재하며 이같이 밝혔다. 논평에 따르면 가상자산은 경제적 속성을 띄며 재물에 속한다. 현행법 및 정책 상 가상화폐는 불법 물품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현행법 테두리 안에서 합법적인 재산으로 법적 보호를 받는다. 또한 이에 따라 범죄 행위에 연루된 가상화폐라 하더라도, 반드시 형사 혹은 민사법에 근거해 몰수, 반환 등 처분을 결정해야 한다. 이를 통해 개인재산의 권익과 사회공공이익의 균형과 보호를 달성해야 한다.

[대통령실 경제수석 "美 금리인상 정점인 듯…언제 금리 떨어질지가 이슈"]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1일 향후 금리 흐름 전망과 관련, "언제 금리가 떨어지는지 이슈가 되는 시대가 됐다"고 평가했다. 최 수석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의 기준 금리 인상도 어느 정도 정점인 듯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해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 즉 3고(高) 위기에 대한 우려가 컸지만 물가 상승률이 6.3%까지 올라갔다가 떨어지고 있고 금리도 안정화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중국 경제나 국내 금융 부문 등과 관련해 '9월 위기설'이 거론되는 데 대해서는 실제로 위기가 촉발될 가능성은 없다고 강조했다.

[특정 고래, 비너스 프로토콜서 빌린 5만 BNB 상환...$80만 숏 익절 추정]

스코프스캔은 "지난 8월 16일 특정 고래 주소가 비너스 프로토콜에서 5만 BNB($1160만)를 빌려 바이낸스로 입금했었다. 그리고 오늘 바이낸스에서 BNB를 출금해 대출금을 상환했다. 만약 이 고래가 8월 16일 BNB 숏포지션에 진입해 오늘 포지션을 닫았다면 약 $80만 수익을 얻었을 것"이라고 전했다.

[아베에 4300만 이상 sDAI 예치...총 공급량의 5.7%]

암호화폐 ETP 발행사 21쉐어스(21Shares) 소속 애널리스트 톰완(Tom Wan)이 "4300만 이상 sDAI가 아베에 예치된 상태다. sDAI 총 공급량의 5.7% 수준이다. 아베가 sDAI 풀을 출시한 후 sDAI 공급량도 5.9% 늘었다"고 전했다.

[바이낸스 9/14 10개 격리 마진 페어 상폐]

바이낸스는 9월 14일 15시 다음 격리 마진 페어를 제거한다고 공지했다. ALPHA/BUSD, ANT/BUSD, BAL/BUSD, COS/BTC, DGB/BUSD, FIRO/BUSD, OOKI/BUSD, QI/BTC, RVN/BUSD, TWT/BUSD.

[특정 고래, 오늘 1.8만 ETH 매도...$274만 손실]

엠버CN은 "오전에 1.2만 ETH를 팔았던 고래가 6000 ETH($982만)를 추가로 팔면서 오늘 총 1.8만 ETH($2960만)를 매도했다. 평균 매도가는 $1644다. 오늘 1.8만 ETH 매도로 이 고래는 $274만 손실을 봤다. 이제 지갑에는 4000 ETH가 남아있는데 과연 전량 매도에 나설까?"라고 전했다.

[로빈후드 SHIB 보유량, 20일간 70% 증가]

워처구루는 아캄 인텔리전스 데이터를 인용, 미국 주식, 암호화폐 거래앱 로빈후드의 SHIB 보유량이 20일 동안 70.4% 증가한 34.134조개($2.72억)를 기록 중이라고 전했다. 시바이누 레이어2 시바리움 재가동 이슈가 발생하면서 로빈후드 SHIB 보유량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리플엑스, 자산 회수 기능 클로백 업데이트 예고]

유투데이에 따르면 리플(XRP)의 자금조달 및 개발분야 자회사인 리플엑스(RippleX) 엔지니어링 팀은 자산 회수 기능인 클로백(Clawback)을 원장 개선안 XLS-39에 포함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클로백 기능을 사용하면 디지털 자산 발행 기업은 계정을 분실하거나 사기를 감지하는 등의 특별한 조건에서 해당 자산을 회수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활성화할 수도,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전날 프렌드테크 일일 거래수 역대 가장 적어]

듄애널리틱스에 따르면 베이스 기반 소셜 미디어 댑 프렌드테크(friend.tech) 8월 31일 거래수가 5,991건으로, 론칭 이후 가장 적은 수를 나타냈다. 프렌드테크 누적 거래수는 150만건 이상, 누적 거래액은 55,610 ETH 수준이다.

[DWF랩스, 24시간 동안 빗썸으로 17만 CYBER 입금...$70만 수익 예상]

스팟온체인은 "DWF랩스는 지난 24시간 동안 7차례에 걸쳐 17만 CYBER(평균 $8.6)를 빗썸으로 입금했다. 이번 첫 CYBER 트레이드로 DWF랩스는 69.7만달러(+91.1%) 수익을 올릴 것으로 추정된다(현 시세로 매도 시)"고 전했다.

[파라스페이스, 파라엑스 마이그레이션 지원...NFT 에어드랍]

NFT 대출 프로토콜 파라스페이스는 "파라엑스(ParaX)는 계정 추상화, 메타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괄 트랜잭션 처리 등을 통해 웹3 환경을 개선한다. 파라스페이스에서 파라엑스로 마이그레이션이 필요한데, 오늘부터 TVL 상위 계정이 새로운 파라엑스 플랫폼으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마이그레이션 프로세스 첫 주 내 마이그레이션을 완료할 경우 파라엑스 메달 NFT를 지급할 방침"이라고 공지했다.

[8월 오픈씨 ETH 거래량, 2021년 5월 이후 가장 적어]

듄애널리틱스에 따르면 오픈씨 8월 이더리움 거래량은 달러 기준 $1.06억으로, 2021년 5월 이후 가장 적은 월 거래량을 기록했다. 활성 사용자 수는 12만 5000명으로 이 역시 1년래 가장 적은 수치였다. 오픈씨 8월 폴리곤 거래량은 702만달러, 활성 사용자 수는 9만 6000명에 그쳐 9개월래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전날 $1.16억 wBETH 민팅..."ETH 스테이킹 수요 증가"]

이더스캔에 따르면 8월 31일 9시경 바이낸스는 69,999.6 wBETH($1.16억)를 민팅했다. 우블록체인은 "바이낸스 사용자들의 이더리움 스테이킹 수요 증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두바이 DMCC, 액셀러레이터 선정 웹3 스타트업에 $10만 제공]

두바이복합상품거래소(Dubai Multi Commodities Center, DMCC)는 웹3 인큐베이터 및 컨설팅 회사 TDeFi와 함께 웹3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등록 2차 마감을 오늘 마감한다고 밝혔다. 기준을 충족한 프로젝트에 10만달러를 제공하고, 5주 동안 비즈니스 전략 개선, 웹3 규정 준수, 마케팅 등 분야 자문을 해준다.

[빗썸 9/4 새벽 서비스 점검]

빗썸은 9월 4일(월) 00:30 ~ 06:30 (총 6시간) 서비스 점검을 실시한다고 공지했다. 점검 시간 동안 빗썸 전체 서비스 이용이 중지된다.

[오늘 $6.89억 상당 BTC 옵션 만기]

암호화폐 옵션 거래소 데리비트에 따르면 한국시간 기준 9월 1일 17시 $6.89억 상당의 비트코인 옵션이 만기 도래한다. 풋/콜 비율은 0.50, 맥스페인(max pain, 가장 많은 옵션 매수자가 프리미엄을 잃는 가격대) 가격은 27,000달러다. 아울러 같은 시간 $2.37억 상당의 이더리움 옵션도 만기 도래한다. 풋/콜 비율은 0.85, 맥스페인 가격은 1,700달러다.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1. BTC 청산 규모: $4884만(롱 $4131만, 숏 $753만) 청산 비율: 롱 84.58% 2. ETH 청산 규모: $2868만(롱 $2483만, 숏 $385만) 청산 비율: 롱 86.58% 3. XRP 청산 규모: $279만(롱 $270만, 숏 $9만) 청산 비율: 롱 96.81%

[BTC '회전율' 2020년 8월 이후 최저]

크립토퀀트는 "BTC 벨로시티(Velocity)가 빠르게 하락 중이다. BTC 벨로시티는 BTC가 시장에서 얼마나 잘 유통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회전율이라고 볼 수 있다. 현재 벨로시티는 2020년 8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alice@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