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 언락(Unlock)은 일정 기간 동안 락업(잠금)되어 있던 토큰이 시장에 유통될 수 있도록 풀리는 과정이다. 언락 이벤트는 공급 증가, 유동성 확대, 매도 압력 상승 등을 야기하며 토큰 가격 변동성과 시장 심리에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특히 시가총액 대비 언락 비율이 높거나 대량 토큰이 단기간에 풀릴 경우, 가격 조정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투자 판단에 참고할 수 있는 이번 주 예정된 토큰 언락 일정과 세부 내용을 정리했다. [편집자 주]
크립토랭크에 따르면 이번 주 5일부터 11일까지 한 주간 총 7억4127만 달러의 토큰 락업이 해제된다.
이번 주 7일(2억8730만 달러)과 11일(1억7860만 달러)에 가장 많은 물량이 시장에 풀릴 예정이다. 해당 기간 갤럭시(GAL), 에네타(ENA) 등 시총 1억 달러 이상 종목의 락업 해제도 진행된다.
일자별 주요 락업 해제 종목
5월 5일 (8650만 달러) GAL|ENA|XION
5월 6일 (4810만 달러) MAVIA|SPEC
5월 7일 (2억8730만 달러) MYRIA|ATA|HFT|JTO|NAVX|NEON|EAI|GRND
5월 8일 (5170만 달러) SCA|MASA
5월 9일 (3895만 달러) MOVE
5월 10일 (5012만 달러) CETUS|CHEEL|FHE
5월 11일 (1억7860만 달러) GODS|GFI|IO|AGI|SEAM
금액 기준 자이온(XION), 지토(JTO), 칠리(CHEEL)이 최대 규모의 토큰 락업 해제를 진행한다. 자이온(ENA)의 락업 해제 물량은 5008만 달러 상당으로, 시총의 2.96%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시총 대비 락업 해제 비율이 높은 종목은 스펙트럴(SPEC), 네온(NEON), 히어로즈 오브 마비아(MAVIA) 등이다.
최근 국내 상장
4월 29일 업비트, 30일 코인원에 상장된 사인(SIGN)은 7월 28일 시총 대비 15.7%에 달하는 1억8917만 SIGN(1571만 달러)에 대한 락업 해제를 실시한다. 5월 2일 빗썸에 상장된 해달(HAEDAL)은 10월 29일 시총 대비 5.92%에 달하는 1154만 HAEDAL(173만 달러)의 물량을 풀 예정이다.
TGE 락업 해제 일정
지난달 29일 해달(HAEDAL)은 TGE 락업 해제를 통해 전체 공급량의 20%에 해당하는 1억9500만개 토큰을 풀었다. 같은날 밀키웨이(MILK)가 전체 공급량의 19.90%에 해당하는 1억9890만개 토큰을 락업 해제했다. 비스퀘어드 네트워크(B2)는 30일에 전체 공급량의 10.8%에 해당하는 2265만개 토큰을 시장에 풀었다.
TGE(Tokens Generation Event, 토큰 생성 이벤트)는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공식적으로 토큰을 발행하는 과정이다. 이때 생성된 물량 중 일부는 일정 기간 락업되며, 이후 처음으로 해제되는 일정이 TGE 락업 해제다. 초기 투자자, 팀, 생태계 물량 등이 포함된다.
VC 락업 해제 일정
벤처캐피털(VC) 락업 해제는 초기 투자자가 보유한 토큰이 시장에서 유동화될 수 있도록 풀리는 과정으로, 프로젝트의 장기 성장과 투자자의 수익 실현 기회를 제공하지만 매도 압력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VC 수익 배율(초기 매입가 대비 현재 가격)이 높을수록 매도 가능성이 커지며, 이는 가격 변동성을 확대시킬 수 있다.
[이 기사는 금융 자문을 제공하지 않으며,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