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 '스테이블코인은 미래 금융 인프라'... 첫 보고서서 잠재력 조명

| 연합뉴스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의 금융경영연구소 ‘토스인사이트’가 26일 첫 연구보고서를 발표하며, 스테이블코인의 금융 인프라로서의 잠재력을 본격적으로 조명했다. 이번 보고서는 스테이블코인이 가상자산을 넘어 새로운 금융 질서의 기초 구조로 부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스테이블코인: 새로운 금융 인프라의 부상’이라는 제목 아래, 해당 기술이 단순한 디지털 자산이 아닌 민간 혁신의 결합체라는 점을 강조했다. 스테이블코인은 통상적으로 미리 확보된 준비금(담보 자산)이나 알고리즘을 통해 가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토큰으로, 블록체인(분산원장) 기술 위에서 발행된다. 주요 특징으로는 낮은 전송 비용, 빠른 송금 속도, 24시간 거래 가능성 등이 꼽히며, 기존 가상화폐에 비해 실생활 활용도 측면에서 경쟁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세계 각국에서 디지털자산 관련 법률이 정비되고 있는 상황을 배경으로, 스테이블코인 산업의 구조와 활용 가능성, 정책적 시사점 등을 폭넓게 다뤘다. 특히 유럽연합(EU)과 미국에서 관련 규제가 구체화되면서 이와 연계된 인프라 산업과 발행·유통 시장의 확장이 본격화되는 추세다. 예를 들어 미국의 대형 금융기관 JP모건은 자사 발행 토큰인 ‘JPM코인’을 금융 내결제에 활용하고 있으며, 페이팔은 자사 이용자 확대를 위해 PYUSD라는 형태의 스테이블코인을 내놓고 있다.

국내 금융권이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 금융기관 중심의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이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제언도 나왔다. 이에 대해 보고서를 공동 집필한 김현만 연구위원과 이주환 연구원은 "기존 은행, 카드사 등 금융기관은 자신들이 가진 신뢰성과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디지털 자산 시장에 진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기존 금융 시스템의 신뢰성 문제와 일부 스테이블코인의 유동성 부족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 평가받는다.

한편, 이번 보고서를 발간한 토스인사이트 측은 이번 연구가 단발성에 그치지 않고, 3부작 시리즈의 서문 격이라며 향후 스테이블코인의 기술적 진화, 산업별 적용사례 등을 연속적으로 다룰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흐름은 디지털 자산의 제도권 금융 편입 논의가 본격화되는 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금융 당국과 민간기업 간의 협업을 통해 스테이블코인의 규제 틀과 활용 방식이 정리되면, 국내외 지급결제 패러다임에도 적잖은 변화가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