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브리핑] 블랙록·피델리티, SEC와 비트코인 현물 ETF 환매 방안 논의 外

프로필
하이레 기자
댓글 18
좋아요 비화설화 33
 [토큰포스트 브리핑] 블랙록·피델리티, SEC와 비트코인 현물 ETF 환매 방안 논의 外

[12/19 BSC 테스트넷 케플러 업그레이드 진행]

BNB체인(BNB)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오는 19일 17시(한국시간)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BSC) 테스트넷에 케플러(Kepler) 업그레이드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메인넷 업그레이드는 내년 1월 23일 17시로 예정돼 있다. 이번 업그레이드는 이더리움 상하이 업그레이드와 호환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라고 BNB체인은 설명했다.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해시덱스, BTC 현물 ETF 증권신고서 수정안 제출"]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가 X(구 트위터)를 통해 암호화폐 전문 자산운용사 해시덱스(Hashdex)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자체 비트코인 선물 ETF의 선물+현물 ETF 전환 S-1(증권신고서) 수정안을 제출했다고 전했다.

[ZX스퀘어캐피털 공동 설립자 "BTC 현물 ETF 승인 시 연기금 암호화폐 투자 확대 전망"]

블록웍스에 따르면 암호화폐 헤지펀드 ZX스퀘어캐피털(ZX Squared Capital)의 공동 설립자 CK 정(CK Zheng)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BTC 현물 ETF를 승인할 경우, 연기금의 암호화폐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예측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10년 간 비트코인은 모든 주요 자산군 중 위험조정 수익률(샤프지수)이 가장 높았다. 때문에 연기금들은 다각화의 일환으로 암호화폐를 일정 비율로 할당하기를 원할 것"이라며 "물론 다수의 암호화폐 기업이 실패를 경험한 만큼, 연기금이 암호화폐 투자 결정 전 더 많은 실사를 요구할 수 있다"고 전했다.

[코인센터 "디지털자산자금세탁방지법, 실상은 기술 진보에 대한 공격"]

코인센터 최고 커뮤니케이션책임자(COO) 니라즈 애그라왈(Neeraj Agrawal)이 X(구 트위터)를 통해 "디지털자산자금세탁방지법은 기술 진보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이자 개인정보 보호 및 자율성에 대한 공격"이라고 말했다. 그는 "잠재적인 자금 세탁 및 테러 자금 조달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안된 이 법안은 실제로는 자유주의 가치를 거부하고 블라디미르 푸틴, 시진핑, 김정일과 같은 권위주의자들이 중시하는 감시 및 통제를 지지한다. 이 법안에 대해서는 개선될 여지가 없다. 반대만이 있을 뿐이다"라고 덧붙였다.

[FTX, 미 법원에 국세청 $240억 과세 산출 방법 등 정보 공개 요청]

더블록에 따르면 FTX 측 변호사들이 지난 10일(현지시간) 델라웨어 파산 법원에 서류를 제출, 국세청(IRS)의 미납세금 240억 달러 산출 방법 등 정보 공유를 요청했다. 이들 변호사는 "IRS는 FTX에 세금 440억 달러를 부과했으며, FTX 파산 신청 이후 이를 240억 달러로 감액해줬다. 운영 기간 동안 FTX는 배당금이나 수익을 분배한 적 없으며 과세 규모 만큼의 이익을 거둔 적도 없다"며 "IRS의 근거 없는 세금 청구로 고객 자금 반환 절차가 무기한 지연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FTX는 IRS이 세금 240억 달러를 부과한 것은 부당하다며 법원에 과세 무효 처분을 내려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블랙록·피델리티, SEC와 비트코인 현물 ETF 환매 방안 논의]

더블록에 따르면 블랙록, 피델리티 등 대형 투자사가 지난 몇 주 동안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회의를 진행, 비트코인 현물 ETF의 환매 절차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블랙록 측 직원은 "SEC와의 미팅에서 수정된 현물 모델에 대한 계획을 제시했다. 해당 방안은 자산관리자에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디애나 대학의 파이낸스 교수인 비비안 팡(Vivian Fang)의 설명에 따르면 자산관리자들은 주식 기반 ETF가 주로 사용하는 모델인 현물(in-kind) 환매 방식에 익숙하다. 반면 SEC는 스토리지 속 비트코인을 즉시 매각해 투자자에게 현금을 돌려주는 현금(cash) 모델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인 현금 모델은 현금 조달을 위해 비트코인을 팔아야 하지만 수정된 현물 모델은 현금으로 지불하기만 하면 된다. 비트코인 현금화 여부를 자산운용사가 컨트롤한다는 부분이 주요 차이점이다. 비비안 팡은 "수정된 현금 모델과 SEC를 만족시키기에 충분할 것"이라며 "투자자의 관점에서 볼 때 기존 모델과 수정된 모델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다"고 설명했다.

[데이터 "바이낸스 시장 점유율, 연초 55%에서 30.1%까지 하락"]

코인데스크가 암호화폐 전문 리서치 업체 CC데이터(CCData)를 인용해, 12월 현재까지 바이낸스 시장 점유율이 연초 55%에서 30.1%까지 하락했다고 전했다. 1월부터 9월까지 거래소의 월간 현물 거래량은 4740억 달러에서 1140억 달러로 70%이상 감소했다. CC데이터는 바이낸스 시장 점유율이 계속 하락하고 있으나, 9월부터 월간 거래량이 증가했다고 전했다.

[미 상원의원 발의 암호화폐 규제법안에 5명 의원 공동발의자 합류]

워처구루(WatcherGuru)에 따르면 미국 민주당 상원의원 엘리자베스 워렌이 11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자금세탁 방지법 관련 양당 연합을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법안 관련 양당의 연합을 확대함으로써 암호화폐 규제를 강화한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다수의 상원의원이 법안 공동 발의자로 합류했다. 엘리자베스 워렌은 "5명의 새로운 상원의원이 법안 공동 발의자로 이름을 올렸다. 이는 초당적인 법안으로, 암호화폐의 불법 사용 사례를 단속하고 규제기관에 더 많은 툴을 제공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고 말했다.

[영국 국가감사원 "FCA, 암호화폐 기업 집행조치 너무 느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영국 의회 산하 국가감사원(National Audit Office, NAO)이 금융감독청(FCA)의 암호화폐 집행 조치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고 지적했다. NAO는 보고서를 통해 "규정을 위반한 기업에 대한 집행조치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규정 위반 기업이 FCA 권한 범위 내에 있고 FCA가 이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어도 관련 집행조치가 취해지기까지 수 년이 걸릴 수 있다"며 "FCA는 암호화폐 규정준수 담당 직원 고용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직원 유지율도 낮은 편"이라고 말했다.

[데이터 "2030년 글로벌 블록체인 게임 시장, $6000억 규모 도달 전망"]

코인텔레그래프가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Fortune Business Insights)데이터를 인용, 글로벌 블록체인 게임 시장이 향후 7년 동안 614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현재 해당 시장 규모는 1540억 달러 규모이다. 보고서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블록체인 게임 제품의 글로벌 판매 데이터를 분석했다"며 "해당 기간 매출의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은 21.8%다. 이를 기반으로 해당 시장은 향후 7년간 300%의 성장률을 보이며 6000억 달러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포춘은 "북미, 남미, 중동/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지역 중 북미지역이 2022년 단일 지역 중 블록체인 게임 아이템 구매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며 "300억 달러 이상, 전체 규모의 24%를 차지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피파, 월드컵 결승 티켓 경품 제공 NFT 출시]

더블록에 따르면 피파(FIFA)가 최초 100명의 소유자에게 2026년 피파월드컵 결승전 티켓을 경품으로 제공하는 NFT를 출시했다. 성명서는 "첫 번째 드롭에는 100개의 NFT가 발행되며, 이를 통해 2026년 피파월드컵 결승전 티켓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고 설명했다. NFT는 폴리곤(MATIC) 네트워크에서 발행되고 오픈씨에서 거래가 가능하다. 앞서 피파의 NFT는 알고랜드에서 발행됐지만 폴리곤으로 옮긴다는 계획이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등 암호화폐 테마주 5-15% 하락세]

비트코인이 급락한 가운데, 암호화폐 관련 기업 주가가 5-10%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상장사 중 BTC를 가장 많이 보유한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의 경우 6%대의 하락세를, 코인베이스의 경우 5%대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 채굴업체인 마라톤 디지털(MARA), 라이엇 플랫폼(RIOT), 클린스파크(CLSK) 등 주가는 10-15% 하락하고 있다. 미디어는 "암호화폐 시장이 조정을 겪고 있는 가운데, 관련주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테더 공동창업자 "최근 비트코인 급등, 기술에 대한 신뢰회복이 원인"]

크립토글로브에 따르면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 공동 창업자 브록 피어스(Brock Pierce)가 CNBC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이 최근 44,000달러를 넘어 급등한 데에는 테라루나사태, 블록파이와 셀시우스 파산, FTX 파산 등의 영향으로 부터 기술에 대한 신뢰가 회복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람들이 기술의 근본적인 가치를 인식하면서 시장이 회복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그는 집행을 통한 규제라는 미국에서 디지털 자산 규제가 처리되는 방식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이 방법이 혁신을 억제하고 미국의 이익을 위한 최선의 방법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있다"고 설명했다.

[미 SEC "바이낸스와 자오창펑, 의도적으로 미국 법 위반"]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거래소가 법무부와 합의했지만 계속해서 바이낸스 소송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힌 가운데, 규제기관이 "바이낸스 및 자오창펑 전 CEO는 의도적으로 미국 법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블록웍스에 따르면 SEC는 "11월말 법무부가 발표한 거래소와의 합의내용은 자오장펑의 기존 주장과 모순된다. 자오창펑은 치외법권(다른 나라의 영토 안에 있으면서도 그 나라 국내법을 적용받지 않는 국제법에서의 권리)을 언급하며, 미국 기업 등과의 접촉이 많지않다고 주장했다. 반면 지난 법무부와의 협의는 바이낸스가 자신이 미국 법률을 준수하지 않았다는 것을 인정한 행위"라고 설명했다.

[엔진, 2억 개 이상 NFT 메인넷으로 마이그레이션 완료]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엔진코인(ENJ)이 이더리움에서 호스팅되는 1억1800만 개 이상의 NFT와 JumpNet이라는 이더리움 사이드체인에서 호스팅되는 1억 1000만 개 이상의 NFT를 엔진 블록체인 메인넷으로 마이그레이션했다.

[코인베이스, SEAM 상장]

코인베이스가 심리스(SEAM)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유동성 조건 충족시 12월 11일 13시(ET 기준)에 거래가 시작된다. SEAM는 익스페리멘털(Experimental, 리스크 높은 자산 표시) 라벨로 상장된다.

[일본 다이와증권, SBI R3 및 프로그맷과 함께 토큰화된 채권 발행]

렛저인사이트에 따르면 일본 투자 은행 다이와증권이 SBI 홀딩스의 조인트 벤처인 SBI R3 및 MUFJ 산하 스테이블코인 플랫폼 프로그맷(Progmat)과 함께 토큰화된 채권을 발행한다. 다이와증권은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채권 발행 시험 계획을 발표했으며, 프로그맷은 이미 기존 채권 발행 및 결제 대행사 솔루션인 재팬 인포메이션 프로세스(Japan Information Process)를 소유한 NTT Data와 채권 협력 관계를 맺고있다.

[애널리스트 "특정 고래, 바이낸스에 5540만 USDT 입금"]

암호화폐 온체인 애널리스트 더데이터너드(The Data Nerd)가 X(구 트위터)를 통해 "8시간 전, 고래 '0xb15'가 바이낸스에 5540만 USDT를 입금했다. 그는 낮은 가격에 매수하고 높은 가격에서 매도한 덕분에 10번의 ETH 거래에서 총 19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린 바 있다"고 전했다.

[패러렐 파이낸스, 이뮨파이와 최대 $5만 버그 바운티 프로그램 운영]

폴카닷 기반 디파이 프로토콜 패러렐 파이낸스(Parallel Finance)가 공식 X를 통해 "웹3 버그 바운티 플랫폼 이뮨파이와 최대 5만 달러 규모의 버그바운티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버그바운티 프로그램은 스마트 컨트랙트, 웹사이트, 애플리케이션에 집중되며, 보상금은 USDC로 지급된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8

추천

33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8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copynote

2023.12.12 22:57:37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엠마코스모스

2023.12.12 22:51:50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흰토끼를따라가라

2023.12.12 17:34:42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바다거북이

2023.12.12 16:51:11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그루나루

2023.12.12 16:30:13

감사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대박보스

2023.12.12 16:18:26

잘보고갑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더블와퍼

2023.12.12 13:16:43

좋은 기사네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젤로는천사

2023.12.12 13:01:39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제이에스

2023.12.12 12:37:16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legoboss

2023.12.12 11:28:58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