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오픈AI와 전례 없는 파트너십…챗GPT로 연방 행정 디지털 전환

프로필
서지우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가 오픈AI와 협력해 챗GPT 엔터프라이즈 버전을 전 연방기관에 도입하기로 했다. 이번 전례 없는 계약은 미국 정부의 AI 기반 행정혁신 전략의 일환이다.

 트럼프 행정부, 오픈AI와 전례 없는 파트너십…챗GPT로 연방 행정 디지털 전환 / TokenPost.ai

트럼프 행정부, 오픈AI와 전례 없는 파트너십…챗GPT로 연방 행정 디지털 전환 / TokenPost.ai

미국 정부가 인공지능(AI) 기술 도입을 가속화하기 위해 오픈AI(OpenAI)와 전례 없는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는 챗GPT(ChatGPT) 엔터프라이즈 버전을 전 연방기관에 제공하는 계약을 맺고, 행정 업무의 디지털 전환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번 계약은 각 정부 기관이 연간 1달러(약 1,390원)에 챗GPT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파격적 조건으로 마련됐다. 이를 통해 미국 전역의 공공행정 시스템에 AI 기술을 깊이 통합하려는 전략적 의도가 엿보인다. 계약 체결 소식은 미국 일반조달청(GSA)을 통해 공식 발표됐다. GSA는 연방 정부의 조달 업무를 총괄하는 기관으로, 이번 협약에 대해 “AI 도입을 촉진함으로써 행정 전반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성장 기반을 마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번 민관 협력은 백악관의 AI 정책 구상인 ‘AI 행동 계획’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는 미국의 AI 선도국 지위 확보를 위한 3대 전략 목표를 발표했으며, 공공 부문과 민간 기술 역량의 결합이 그 핵심 축이다. 챗GPT 기술의 채택은 이러한 목표 실현을 위한 시범 단계로, 향후 연방기관의 정책 결정, 보고서 작성, 국민 응대 등 다양한 분야에 AI가 접목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AI 기술 주도권을 확보해야 한다는 입장을 수차례 밝혀 왔으며, 이번 조치는 그런 기조의 연장선상에 놓인다. 일각에서는 공공부문에 민간 AI 플랫폼을 도입하는 데 따른 보안 문제와 알고리즘 투명성 논란도 제기되지만, 미 정부는 철저한 관리 체계를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AI 혁신에 대한 미국 행정부의 강한 의지가 이번 GSA-오픈AI 계약을 통해 다시 한 번 확인된 셈이다. 향후 연방 기관들이 어떤 방식으로 챗GPT를 정책 수립 및 실행에 활용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릴라당

05:13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릴라당

2025.08.07 05:13:42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