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개발된 사물인터넷(IoT) 보안 인증이 독일에서도 공식적으로 인정받게 되면서, 한국 기업의 유럽 시장 진출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 독일과의 상호 인증 제도를 통해 국내 인증 제품이 현지 규정을 따로 충족하지 않아도 유통될 수 있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이날 독일 베를린에서 독일 연방정보기술보안청과 상호 인정 약정(MRA)을 체결했다. 이 약정은 양국의 사물인터넷 보안 인증 체계를 서로 받아들이겠다는 내용으로, 양국 모두가 운영 중인 정보보안 인증 제도가 유사한 구조임을 전제로 한다.
이번 상호 인정은 소비자용 사물인터넷 제품을 대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로봇청소기, 스마트 냉장고, 스마트TV 등 일상에서 많이 활용되는 전자기기가 포함된다. 즉, 국내 보안 인증을 획득한 이러한 제품들은 별도의 독일 내 보안 검증 없이도 현지 시장에 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최근 유럽연합은 사이버 보안 문제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디지털 제품의 보안성을 법적 기준으로 관리하려는 움직임이 강화되면서, 유럽으로 제품을 수출하려는 기업들은 보안 인증 확보가 필수적인 과제가 됐다. 이런 가운데 독일은 유럽연합 내에서도 보안 인증 체계의 엄격함과 공신력 면에서 중요한 국가로 꼽힌다.
이미 2022년부터 한국은 싱가포르와 유사한 인증 상호 인정 제도를 운영해왔으며, 독일은 두 번째 상대국이다. 한국 정부는 이번 합의를 계기로 국내 중소 ICT 제조업체들이 별도의 인증 비용이나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유럽 소비자 시장에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한국의 정보통신 기술 제품이 국제 무대에서 보안 신뢰성을 인정받고 있다는 방증이며, 향후 프랑스, 네덜란드 등 유럽 내 다른 주요국들과의 인증 연계로 확장될 가능성도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국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해외 매출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