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AI의 최고경영자(CEO) 샘 알트먼(Sam Altman)이 자사의 인공지능 챗봇 챗GPT(ChatGPT)와 나눈 대화가 법적으로 제3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경고하며, 이용자 개인정보 보호에 미흡한 현재 상황이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알트먼은 최근 팟캐스터 시오 본(Theo Von)과의 인터뷰에서 챗GPT를 통해 주고받은 민감한 정보나 문서가 법적 소환장 등에 의해 제출될 수 있다며, 이 점이 심각한 사생활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심리 상담사, 변호사, 의사와의 대화는 법적으로 보호받는 반면, AI 챗봇과의 대화에는 이러한 법적 특권(privilege)이 적용되지 않는 현실을 지적했다.
알트먼은 인터뷰에서 “지금 상황에서는 사람이 치료사나 변호사, 의사에게 이야기하면 법적 보호가 작동하지만, 챗GPT와 대화할 때는 그런 보호 장치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만약 이용자가 챗GPT에 아주 민감한 사생활을 털어놓았고 이후 관련된 소송이 제기될 경우, “우리는 그 정보를 법원에 제출해야 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발언은 심리적 위안이나 건강, 금융 자문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활용이 확대되는 흐름 속에 나왔다. 실제로 챗GPT 같은 AI가 카운슬링이나 조언을 제공하는 사례가 늘고 있어, 대화 내용의 프라이버시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알트먼은 이에 대해 “그건 정말 잘못된 일”이라고 일갈하며, AI와 사용자 간 대화도 치료사나 변호사와의 대화처럼 보호받아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AI와 나눈 대화 역시 동일한 수준의 개인정보 보호 개념이 확립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AI 기술이 빠르게 생활 전반에 녹아드는 가운데, 사적인 데이터의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현실은 향후 법적·사회적 논쟁을 촉발할 가능성이 크다. 전문가들은 향후 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