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언어 데이터 기업인 플리토가 올해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고위관리회의에 통번역 시스템을 제공하면서, 한국 AI 기술의 국제무대 활용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기업에 따르면, 1차부터 3차까지 이어진 이번 회의 전 과정에 자체 개발한 다국어 번역 솔루션이 적용됐다.
이번에 제공된 플리토의 AI 통번역 시스템은 영어, 중국어, 일본어를 포함해 최대 38개 언어를 실시간으로 번역할 수 있는 서비스다. 특히 상호 대화형 번역이 필요한 회의 환경에 맞춰,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챗 트랜스레이션 엔터프라이즈’ 솔루션과 동시에 여러 명에게 음성 번역이 가능한 ‘라이브 트랜스레이션’ 기술이 현장에서 활용됐다.
행사별로 솔루션 도입 범위도 달랐다. 1차 회의(SOM1)에서는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와 인근 호텔에서, 2차 회의(SOM2)에서는 제주도에서 열린 만찬 행사에 제공됐으며, 3차 회의(SOM3)때는 인천 송도컨벤시아와 인천공항 입국장 및 주요 호텔에서 통합 시스템이 운영됐다. 이는 실시간 번역 정확도와 현장 대응력을 시험받는 중요한 무대였다.
플리토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기업의 핵심 가치를 국제 행사에 접목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AI 통번역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과 대규모 운영 능력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기술적 성과 외에도 브랜드 신뢰도 향상 효과가 기대된다.
플리토 측은 기술력을 더욱 고도화해 향후 다양한 국제 행사와 정부 및 민간 수요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인공지능 기반 언어 서비스 확대는 글로벌 의사소통 장벽을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관련 시장 확대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