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공지능 산업의 본격적인 확산과 실효성 있는 성과 창출을 위해 부처 간 장벽을 넘어 협력공조 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8월 14일 고위급 회의를 열고 인공지능 전환을 뒷받침할 공동 전략 수립에 착수했다.
이번 회동은 과학기술과 산업기술이 융합되는 이른바 '피지컬 AI(Physical AI)' 시대의 본격 개막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피지컬 AI는 소프트웨어 기반 인공지능에 하드웨어 기술이 결합된 형태로, 현실 공간에서 직접 작동하는 로봇, 자율주행 기술 등으로 대표된다. 정부는 이렇게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원천기술과 응용기술 간 경계가 흐려지는 추세에서 더 이상 개별 부처 차원의 대응으로는 한계를 느꼈다는 판단에 따라 협력체 구성에 나섰다.
양 부처는 산업 현장의 실제 수요에 기반한 인공지능 이행 모델을 확산하고, 제조 AX(인공지능 전환, AI Transformation), AI 반도체 같은 융복합 분야에서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과기정통부는 원천기술과 소프트웨어에 강점을, 산업부는 현장 중심의 기술과 하드웨어 역량에 특화돼 있는 점을 살려, 분야별 장점을 결합하는 시너지 전략을 구사하겠다는 의지도 드러냈다.
우선적인 과제로는 지역 기반의 인공지능 전환 선도모델 구축이 꼽힌다. 각 지역의 산업 특성에 맞춘 대형 프로젝트를 연내에 공동 기획해, 인공지능 기술의 수도권 집중을 막고 지역 산업의 경쟁력을 함께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차관급 협의체를 구성해 공동 정책·사업을 지속 발굴하고, 양 부처가 독자적으로 운영해왔던 민관 협의체(얼라이언스) 간의 연계도 강화하기로 했다.
전문가 인력 교류에도 방점을 찍었다. 양 부처는 서로 소속된 연구기관에서 보유한 기술, 데이터, 인력을 공동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고, 상대 부처 사업에 외부 전문가를 추천할 수 있는 제도도 신설한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부처 간의 칸막이를 줄이고 인재 자원을 보다 유연하게 활용하는 기반이 만들어질 수 있다.
정부는 향후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조속히 수립해 실질적 협력이 이뤄지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국가 전체의 인공지능 경쟁력 강화와 산업 구조 전환 속도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인공지능과 반도체, 로봇 산업이 맞물리며 성장의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높아 정부의 이합집산 전략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