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6천억 원 투입해 'AI 실증 도시' 만든다…산업·일자리 대전환 예고

| 연합뉴스

광주광역시가 향후 5년간 총 6천억 원 규모의 인공지능 2단계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 사업은 2025년 8월 18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의결됐으며,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거쳐 2026년부터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이번에 추진되는 광주 인공지능 2단계 사업, 이른바 인공지능 실증밸리 구축 사업은 단순한 첨단 기술 개발이 아니라 생활 속에서 사람들과 직접 맞닿는 인공지능 실증 도시를 목표로 삼고 있다. 1단계 사업이 대용량 컴퓨팅 기반과 데이터센터 구축, 전문인력 양성 등 인프라 조성에 초점을 맞췄다면, 2단계는 이를 바탕으로 실제 응용과 시민 참여를 통한 실증에 비중을 두고 있다.

광주시는 지난 5년간 약 4천300억 원을 투입해 국가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대형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등 핵심 기반시설을 조성했다. 이러한 성과를 토대로 이번 2단계 사업에서는 인공지능 융복합 기업 1천 개 유치를 목표로 하고, 복지시설·공원·주차장 등 3천375개 공공시설과 48개 연구기관이 보유한 약 3천879종의 실증 장비를 민간에 개방해 기업의 기술 개발과 실험을 적극 뒷받침할 계획이다.

핵심 목표 중 하나는 AI 기술로 전환되는 모빌리티와 에너지 산업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시민들이 AI의 편익을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향성이 반영된 것이다. 이를 위해 광주시는 국가 AI 집적단지 및 AI 규제자유특구 지정, 국가 AI 컴퓨팅센터 유치에도 힘을 쏟을 계획이다.

광주시는 이러한 인공지능 2단계 사업이 지역 경제에도 실질적인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생산유발 9천831억 원, 부가가치유발 4천942억 원, 고용유발 6천281명 등의 경제적 효과를 전망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기술확산에서 나아가 지역 산업 구조 개편과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 같은 흐름은 인공지능의 기술 발전이 단순히 연구실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시민의 일상 속으로 파고드는 방향으로 정착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국비 지원과 규제 유연성이 확보되면, 광주는 전국 최초의 AI 실증 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