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핵심사업 정보유출 의혹에 정부 '선정 사전 공유 없었다'

| 연합뉴스

정부가 중점 추진 중인 ‘독자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을 둘러싸고 기업 선정 결과가 사전에 외부로 유출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이를 명확히 부인했다.

이번 논란은 독자 AI 모델 개발을 위한 주요 참여 기업이 지난 8월 초에 발표되면서 촉발됐다. 그 직후 일부 인사가 관련 기업 주식을 거래한 정황이 포착되면서, 개발 주체 선정 결과가 발표 전에 특정 인물에게 사전 공유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다. 이에 대해 과기정통부는 전면 부인을 하며, 사전 유출이나 정보 공유는 없었다고 강조했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8월 20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무소속 이춘석 의원에게 기업 선정 결과를 사전에 보고했느냐는 질의에 대해 “그럴 이유도, 그런 시간도 없었다”고 일축했다. 또한, 배 장관이 과거 LG AI연구원장을 지냈다는 점에서 이해 충돌 가능성이 제기되자, 류제명 제2차관은 “응모 기업과의 관계로 인해 장관에게 기피 신청을 했고, 이후 관련 내용을 보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실제로 과기정통부는 해당 의혹과 관련한 사실 확인에 착수했으며, 기관 내부 관계자와 사업 관련 인력에 대해 조사도 진행했다. 류 차관은 경찰 수사가 현재 진행 중인 사안이라면서, 향후 수사 결과에 따라 추가 조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번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은 GPT와 같은 범용 인공지능 언어 모델을 국내 기술로 개발하겠다는 구상 아래 추진된다. 2025년 기준, 네이버, LG CNS 등을 포함한 다섯 개 기업이 참여 주체로 선정돼 대규모 국가 예산의 지원을 받고 있다. 정부는 민간 주도의 기술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기조 아래 초기 인프라 구축과 마중물 역할에 집중할 방침이다.

한편, 배 장관은 향후 2년 내로 고성능 인공지능 연산 장치인 GPU(그래픽처리장치) 3만5천장을 도입하겠다는 구체적인 계획도 밝혔다. 장기적으로는 2030년까지 총 5만장 확보를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대규모 AI 개발을 뒷받침할 연산 인프라를 갖추겠다는 구상이다. 또한, 국가 AI 전략을 총괄할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도 내달 초 공식 발족 예정이다.

이 같은 정부의 움직임은 글로벌 AI 산업 경쟁 심화 속에서 우리 기업들이 자립형 기술 기반을 확보하고, 미국이나 중국의 대형 모델에 의존하지 않도록 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당분간 국책사업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둘러싼 논란은 계속될 가능성이 있으며, 향후 관련 정보 관리 체계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