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비수도권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AI) 전용 데이터센터 건립 사업이 본격적인 첫걸음을 내디뎠다. SK텔레콤과 울산시는 8월 29일 울산 국가산업단지에서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기공식을 열고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갔다.
이번 데이터센터는 2027년 말부터 단계적인 가동을 목표로 한다.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기반의 AI 연산 환경을 중심으로 설계됐으며, 하이브리드 냉각 시스템 등 최신 기술이 도입될 예정이다. 이는 일반 데이터센터보다 높은 에너지 효율성과 연산 성능을 기대할 수 있는 구조다. 또한, 세계 최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인 아마존웹서비스(AWS)의 기술 요건을 충족하도록 설계돼, 글로벌 경쟁력도 확보했다는 평가다.
전력 인프라도 대규모 확장을 염두에 두고 구축된다. 초기에는 40메가와트(MW) 용량으로 시작되지만, 추후 100MW급으로 확장한 뒤 장기적으로는 기가와트(GW)급 시설까지 검토하고 있다. SK가스와 SK멀티유틸리티 등 그룹 내 에너지 계열사와 연계해 액화천연가스(LNG) 기반 전력 공급망을 구축,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는 향후 탄소 배출을 줄이며 지속 가능한 데이터센터 운영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울산시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단순한 인프라 건설을 넘어, 인공지능 산업 생태계 형성의 중심지로 도약하겠다는 구상이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이날 “울산을 ‘AI 수도’로 선포한다”며, AI 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관련 산업 유치 및 인재 양성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울산은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망과 산업단지 밀집 지역이라는 장점을 기반으로 한층 경쟁력 있는 입지를 갖췄다는 분석이다.
SK그룹은 이 AI 데이터센터를 첨단 산업 전반에 AI 기술을 적용하는 기지로 삼아, 제조업 혁신과 일자리 창출 등을 실현하겠다는 방침이다. 실제로 앞으로 30년 동안 약 7만 8천명의 고용 창출과 25조 원 규모의 경제 효과가 기대된다. 인프라 구축은 SK에코플랜트가 맡아, 관련 분야 초기 시장 주도권 확보도 노리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국내 데이터 인프라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지방 중심의 첨단 산업 성장 모델 형성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주목된다.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데이터센터 허브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는 만큼, 앞으로 관련 투자와 정책 지원이 어떻게 이어질지에 따라 산업 전반의 판도가 달라질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