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의 AI 콘텐츠 통제 강화 움직임에 발맞춰 위챗(WeChat), 더우인(Douyin), 웨이보(Weibo) 등 다수의 주요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새로운 인공지능 콘텐츠 표기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는 인공지능 기술의 확산에 따른 허위 정보, 사기, 저작권 침해 등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중국 당국이 디지털 생태계에 대한 전방위적인 감시를 확대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이번 조치는 중국 사이버공간관리국(CAC)이 지난 3월 발표한 ‘AI 생성 콘텐츠 식별 의무화’ 규제의 일환으로, 모든 소셜미디어 게시물에 사람 대신 인공지능이 만든 텍스트, 이미지, 영상, 음성 파일이 포함된 경우 명시적 라벨링을 의무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콘텐츠 자체에는 메타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워터마크 추가도 요구된다. 위챗은 자사 플랫폼 사용자들에게 AI 콘텐츠 게시 시 자진 신고를 요구하고 있으며, 자체 감지 시스템을 통해 라벨이 누락된 게시물에는 자동 식별 라벨을 붙이고 그 변조를 엄격히 금지한다고 경고했다.
더우인 역시 사용자가 업로드하는 AI 영상에 대해 명확한 표시를 권고하고 있으며, 사용자 식별이 없었던 AI 콘텐츠는 메타데이터 추적을 통해 자체 인식 조치를 취한다. 웨이보는 사용자에게 AI 콘텐츠 자가표시 기능과 함께, 타인의 미표기 AI 콘텐츠를 신고할 수 있는 도구도 제공하고 있다. 전자상거래 기반의 레드노트(RedNote)는 미표기 AI 콘텐츠를 발견할 경우 명시 및 암시 라벨을 자의적으로 삽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변화는 CAC가 최근 AI 남용을 바로잡는 '칭랑(청명) 캠페인'을 강화하면서 더욱 가속화됐다. 이 캠페인은 중국어 인터넷 공간의 질서를 정비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행동이다. 특히 14억 명 이상이 이용하는 위챗과 7억 명 이상을 확보한 더우인 같은 플랫폼의 협조는 CAC의 계획에 중요한 기반이 된다.
AI 생성 도구를 제공하는 주요 기업들도 이번 규제에 발맞춰 대응에 나섰다. 텐센트의 AI 챗봇 위안바오(Yuanbao)는 자체 생성 콘텐츠에 명시적·암시적 식별 태그를 자동 부착하도록 정책을 개편하고, 사용자에게 라벨 삭제 시도를 말라고 주의를 촉구했다.
중국의 이러한 대응은 글로벌 규제 흐름과도 맞물린다. 유럽연합은 2026년 8월부터 AI가 상당 부분 개입해 생성된 콘텐츠에 라벨 표기를 의무화하는 'EU AI법' 시행을 앞두고 있으며, 미국은 아직 연방 차원의 강제 규정을 만들지는 않았지만 메타(META) 등 일부 기업은 자체 정책을 통해 AI 콘텐츠 구분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AI 콘텐츠의 급증은 공적 담론을 교란하거나 불법 마케팅에 활용될 수 있는 위험성을 동반한다. 이를 막기 위한 각국의 규제 구체화가 이어지는 가운데, 중국의 선제적 제도 시행은 기술 통제가 강화되는 디지털 정책의 교두보로 주목받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