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까지 파고든 AI…정부도 '디지털 대응' 본격화

| 연합뉴스

인공지능(AI)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공공 부문에서도 보다 적극적인 AI 도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산업계에서는 AI의 빠른 성장세에 발맞춰 정부 역시 정책적으로 기반을 확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오케스트로 솔루션데이 2025’ 행사에서 박소아 오케스트로 클라우드 대표는 정보기술 산업의 중심축이 AI 애플리케이션으로 옮겨가는 만큼, 공공 부문 역시 변화를 주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국민 생활 전반과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서비스에 AI를 도입하는 것이 긴요하다고 언급했다.

최근 오케스트로가 진행한 자체 조사에 따르면, 국내 공공기관 53곳 가운데 절반가량이 이미 AI 기술을 일정 부분 활용하고 있으며, 약 20곳은 업무 효율화나 운영 방식의 혁신을 추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 산업 역시 AI 도입이 더딘 분야로 꼽히지만, 세계적으로 관련 기업 중 66% 이상이 AI 기술을 적용하고 있어 변화가 빠르게 진행 중이라는 설명이다.

오케스트로는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AI 기반 공공 서비스 개발에 한층 박차를 가하고 있다. 거대언어모델(LLM) 개발사인 업스테이지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국가대표 AI 개발 사업’에도 참여 중이며, 자사의 솔루션 ‘클라우드넷’을 기반으로 공공 데이터 처리 및 가공 파이프라인을 만드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공공에 특화된 파생 서비스 모델을 지속적으로 만들어낼 계획이다.

공공 서비스에 클라우드와 AI를 연계하는 작업은 기술적 과제와 인프라 측면에서 쉽지 않은 일로 꼽힌다. 그러나 정부가 다양한 부처에서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구축을 시도하고 있음에 따라, AI 도입이 실제 현장까지 점차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를 통해 구축된 PPP(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서비스는 소방·재난 대응 부문에 적용된 바 있다.

앞으로 공공 분야의 AI 도입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산업 성장률이 2030년까지 연평균 최대 40%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정부 역시 정책·예산·기술적 준비를 서두를 것으로 보인다. 데이터 기반 행정, 긴급 대응, 복지 서비스 등에서 AI를 접목할 여지는 계속해서 넓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민간과 공공의 기술 격차를 줄이는 동시에 디지털 통합 기반을 강화하는 구심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