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피해가 날로 커지는 가운데, 정부와 민간 기관이 손을 맞잡아 인공지능 기반 대응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9월 10일, 민·관이 협력하는 보이스피싱 대응 연구개발 협의체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공식 출범시켰다.
이번 협의체는 국가 차원의 보이스피싱 방지 기술을 고도화하기 위한 첫발로, 정부 기관과 주요 ICT 기업, 연구기관들이 대거 참여했다. 구체적으로,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을 비롯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경찰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관계 부처는 물론이고, 이동통신 3사, 삼성전자,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등도 참여한다. 즉, 공공의 보안 역량과 민간의 기술력, 연구기관의 전문성이 총체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다.
정부는 특히 인공지능 기술을 중심에 놓고 대응체계를 마련 중이다. 현재 보이스피싱 수법은 전화번호 조작, 실시간 음성 변조, 메신저 위장 등 갈수록 정교해지고 있어 기존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협의체는 이를 위해 각 기관이 보유한 보이스피싱 관련 데이터를 안전하게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AI 기반 탐지 모델을 공동 개발·향상시키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배경으로 보면 이번 조치는 지난 8월 발표된 정부 합동 ‘보이스피싱 근절 종합 대책’의 후속 실행 단계다. 정부는 이 대책에서 피해 사전 차단 중심으로 대응 방향을 전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실제로 올 상반기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6천억원을 넘어서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3천243억원)보다 거의 두 배 가까이 늘었다는 점도 이번 협의체 구성의 촉매제가 됐다.
앞으로 데이터 공유 체계가 안정적으로 구축되고, AI 모델의 실효성이 입증될 경우, 보이스피싱 대응은 단순 모니터링을 넘어 사전예측과 실시간 차단까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이를 통해 국민 개개인의 금융 피해를 줄이고, 장기적으로는 사이버 범죄 전반에 대한 선제적 대응력을 갖추겠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