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가 인공지능(AI) 산업 전담 조직 신설에 나섰지만, 정작 이를 이끌 과장을 뽑지 못하면서 사업 추진에 차질이 생기고 있다. 산업 육성을 위한 전담 부서를 마련한 지 석 달이 지났지만, 공모한 4급 상당 AI산업과장 자리를 아직도 채우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경남도는 올해 7월, AI산업을 적극 육성하겠다는 정부 방침에 발맞춰 산업국 산하에 ‘AI산업과’를 신설했다. 이는 윤석열 정부가 제시한 ‘AI 3대 강국’ 비전의 일환으로, 경남이 제조업 기반의 인공지능 기술개발과 실증사업 거점으로 지정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특히 경남처럼 전통 제조업 비중이 큰 지역일수록,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AI 정책과 조직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이번 과장직 공모에는 많은 관심이 쏠렸다.
해당 직위는 개방형으로, 민간과 공직을 포함한 전문가들에게 열린 형태로 운영된다. 담당 업무는 경남의 AI산업 정책 기획, 기업 지원, 주력산업의 디지털 전환 추진 등 사실상 지역 AI 전략을 총괄하는 중책이다. 응모 자격도 까다롭게 설정됐다. AI, 빅데이터, 소프트웨어, 정보통신 등 기술 분야 뿐 아니라,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 또는 관련 산업정책 기획·연구 경험이 요구된다.
지난 7월 4일 시행된 1차 공모에는 총 9명이 지원해 서류 심사를 통과했지만, 이후 진행된 적격성 평가에서는 모두 탈락했다. 발표 능력, 전문성 검토, 조직관리 역량 등을 아우르는 다면 평가에서 합격 기준에 미치지 못한 것이다. 이에 따라 경남도는 결국 지난 8월 20일 ‘합격자 없음’을 공고하고 재공모 절차를 밟고 있다.
현재 일정에 따르면, 재공모 결과는 오는 10월 30일 발표된다. 형식요건 심사는 9월 말, 적격성 심사는 10월 중순에 진행된다. 따라서 AI산업과장 임용은 빨라도 11월 초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이는 AI산업과 신설 후 약 넉 달이 지난 시점으로, 조직 운영에 필수적인 리더가 공석인 상황이 장기화되는 셈이다.
이 같은 상황은 AI 관련 정책의 시급성, 그리고 지역주도의 기술 생태계 조성이 강조되는 시점에 행정의 발 빠른 대응이 쉽지 않다는 현실을 보여준다. 경남도가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어떤 전문가를 기용할지, 그리고 이후 정책 추진 속도를 얼마나 끌어올릴 수 있을지에 따라 지역 AI 전략의 실효성도 가늠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