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기업과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 책임자들이 인공지능 기술 발전과 개인정보 보호의 균형을 도모하기 위한 공동 선언문을 채택했다. AI 시대에 맞는 프라이버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이같은 노력은, 기술 혁신과 국민 신뢰 사이에서 지속 가능한 정책 패러다임을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한국개인정보보호책임자협의회는 9월 15일 서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개인정보보호 및 안전활용 선포식’을 개최하고, ‘AI 프라이버시 공동선언문’을 공개했다. 이번 행사는 세계 95개국, 148개 개인정보 감독기구가 참여한 글로벌프라이버시총회(GPA)의 사전 행사로 열렸으며, 국내외 데이터 정책 및 AI 기술 거버넌스 분야에 대한 논의의 장이 됐다.
이번 선언문에는 카카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텔레콤, LG전자,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운영사),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운영사) 등 국내 61개 민간기업 및 기관이 참여했다. 이들 기관의 개인정보보호 책임자들은 AI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는 만큼, 개인정보 보호의 책임과 거버넌스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인식을 공유했다.
공동선언문은 ‘AI 안전 생태계 조성을 위한 7대 실천사항’이라는 틀 아래, 기술 혁신과 정보주체(개인정보의 당사자)의 권리 보호를 균형 있게 담았다. 주요 과제로는 AI 기술 혁신과 동시에, 처리 과정에서의 투명성 확보, 프라이버시 리스크 사전 대응, 법규 준수, 공정한 기술 접근성 보장 등이 제시됐다. 또한, 보호책임자(CPO) 중심의 내부통제 시스템을 중심으로 한 AI 프라이버시 거버넌스 구축도 강조됐다.
최장혁 개인정보위원회 부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호책임자 역할을 강화하고, 내부통제 체계를 정착시키는 일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염흥열 한국CPO협의회 회장 또한 "이번 선언은 AI와 프라이버시 간 조화를 위한 국제적 행동 기준의 출발점이며, 글로벌 기업들이 함께 실천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런 선언은 AI 기술이 국민 생활에 광범위하게 스며드는 지금, 기술 혁신을 추진하면서도 국민 신뢰를 얻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으로 여겨진다. 향후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선언문의 실천 사항을 구체적인 정책과 산업 지침으로 발전시켜 나갈 경우, 지속 가능한 AI 생태계 조성이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