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90% “생성형 AI, 개인정보 침해 우려”...신뢰도 위기 현실화

| 연합뉴스

생성형 인공지능(AI)에 대한 경계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전체 국민의 90% 이상이 개인정보 침해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기술의 진보와 맞물려 인간의 기본 권리에 대한 회의감이 짙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최근 발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생성형 AI의 개념을 인지하고 있는 20∼60대 성인 남녀 1,000명 중 90.2%가 ‘AI가 개인정보를 학습하고 축적함으로써 개인의 권리를 침해할 수 있다’는 점에 우려를 드러냈다. 특히 생성형 AI는 대규모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스로 문장이나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기술로, 개인의 디지털 흔적이 무분별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이러한 불안은 단순히 프라이버시 침해에 그치지 않았다. 응답자의 87.2%는 AI로 인해 기존 직업군이 사라질 가능성을 걱정했고, 68.0%는 기술 발전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불안감을 호소했다. 또한, 89.6%는 ‘사람들이 AI가 제공한 잘못된 정보를 사실로 받아들이는 일이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고 답해, AI 기술이 초래할 수 있는 정보 혼란과 사회적 갈등에 대한 경계도 컸다.

언론이 AI를 활용해 제작한 콘텐츠를 뉴스 기사로 받아들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렸다. 공공정보를 검증하는 등의 사실 확인 도구로 사용하는 경우 응답자의 64.5%가 ‘수용 가능하다’고 답했으나, 이미지 생성 도구로 쓰이는 경우에는 60.0%가 ‘뉴스 기사로 보기에는 불편하다’고 응답해, 정보 전달 방식에 있어서도 수용 한계가 존재함을 보여줬다.

이번 조사는 2025년 9월 4일부터 8일까지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신뢰수준 95%에서 표본오차는 ±3.0%포인트였다. 조사대상은 생성형 AI의 개념을 인지하고 있는 전국 성인 남녀로 구성됐다.

AI 기술이 빠르게 일상에 스며들고 있는 지금, 이처럼 뚜렷한 대중의 우려는 정책 당국과 업계에 명확한 시사점을 남긴다. 특히 개인정보 보호 장치와 AI 윤리에 대한 명확한 규범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기술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앞으로 AI 시스템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보완책이 더욱 절실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