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AI 책임관 협의회 출범…범부처 인공지능 전략 본격화

| 연합뉴스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가 부처별 인공지능(AI) 책임관 협의회를 공식 출범시키고 본격적인 범정부 AI 협업 체계 구축에 나섰다. 이번 조치는 각 부처 내 AI 정책 추진의 책임성과 실행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대응이다.

18일 첫 회의를 연 '인공지능책임관 협의회'는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을 국가 CAIO(Chief AI Officer, 인공지능책임관)로 두고, 장관급 기관 25곳의 담당 CAIO들이 참여했다. 이 자리에서는 내년도 주요 AI 예산을 처음으로 공유하고, 각 부처가 개별적으로 추진해온 AI 정책을 어떻게 연계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오갔다.

정부는 지난해 48개 부처와 위원회를 대상으로 CAIO 지정을 완료한 바 있으며, 장관급 기관에는 차관급 인사, 차관급 기관에는 실장급 인사를 CAIO로 임명하는 방식이다. 향후에는 그 범위를 지방자치단체까지 점차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각 CAIO는 AI 전략 수립, 데이터 활용, 사업 기획 등 부처 내 AI 관련 업무 전반에 대해 최종적인 책임을 진다.

이번 협의회는 단순 자문 기구가 아니라, 국가 AI 전략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협력 조직이다. 특히 '대한민국 AI 액션플랜' 등 중앙정부의 중장기 전략과 각 부처의 정책 사이에 유기적 연계를 강화하는 것이 핵심 목적이다. AI·데이터 관련 규제나 예산 편성에 대해서도 공동으로 협의하며 정책 추진의 공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회의는 매달 정기적으로 열릴 예정이며, 필요 시 관련 분과위원들도 함께 참석해 주제별 토론에 참여한다. 아울러 협의회 논의 결과는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에 직접 보고되어 상위 정책 결정과 피드백으로 연계된다.

이 같은 AI 협의체 기반의 정부 운영방식은 앞으로 부처 간 AI 정책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더 나아가 정부 전체의 디지털 전환 속도를 끌어올리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데이터 기반 행정 강화와 AI 규제 정비 등 급변하는 기술 환경에 적응하려는 정책적 움직임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