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제조업 전반에 인공지능(AI) 기술을 본격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기업과 연구자가 한자리에 모인 현장 간담회에서,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제조업의 AI 도입률을 대폭 끌어올리겠다는 구체적인 계획도 밝혔다.
9월 19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대전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 AI 팩토리 랩에서 ‘AI 대전환 릴레이 현장간담회’를 열고 산업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들었다. 이번 간담회는 로봇, 자동차 등 AI 적용이 활발한 주요 제조 분야 기업들과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조업의 AI 전환 전략을 공유하고 향후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행사였다.
이날 간담회 현장에서는 포스코, LG전자, GS칼텍스, 현대차, 구글 클라우드 등 국내외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중견 IT업체와 대학 연구진들이 모여 실제 AI 기술을 활용한 생산 혁신 사례를 발표했다. 기업들은 특히 AI를 적용해 생산라인을 자동화하거나 공정 효율을 높인 경험을 공유하며, 정부에 실증 프로젝트와 금융 지원의 확대를 건의했다.
구윤철 부총리는 제조업에 AI를 접목하는 것이 단순한 기술 응용을 넘어선 국가 산업 전략 차원의 변화라고 강조했다. 그는 “AI 기반 제조공정 혁신은 생산성 향상을 넘어 맞춤형 제품 대응, 탄소 저감, 작업장 안전 강화 등 전방위 변화를 이끌 수 있다”며 “제조업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생존 전략”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현재 5% 미만인 제조기업의 AI 도입률을 2030년까지 40%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관련 부처가 ‘주력산업 AI 자율제조 전략’과 ‘스마트공장 확대 방안’ 등 종합 대책을 마련해 추진 중이다. 선도사업 공장은 지난해 26개에서 2030년 500개로 확대하기로 했고, AI 도입 시 활용할 수 있는 보험·대출 프로그램도 시중은행과 협력해 최대 10조원 규모로 마련된다. 스마트공장 구축 예산도 올해 2,361억 원에서 내년 4,366억 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청년 연구자들의 목소리 또한 주요 안건 중 하나였다. 이들은 연구환경 개선과 실질적인 정부 지원을 촉구했으며, 정부는 이에 대해 AI 및 AX(확장형 인공지능) 대학원 확대, 생성형 AI 연구과제 증설 등으로 R&D 인재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흐름은 앞으로 전 산업에 걸친 디지털 전환 속도를 높이고, 한국 제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기대를 낳고 있다. 특히 정부, 학계, 기업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구조가 자리 잡는다면, 국내 제조업의 AI 전환은 단기간 성과를 넘어서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로 진화할 가능성이 크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