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챗GPT 품고 'AI 슈퍼앱'으로 진화 선언

| 연합뉴스

카카오톡이 인공지능(AI)을 전면에 내세운 대대적인 개편을 추진하면서, 메신저 중심의 서비스 전략에 큰 전환점을 맞았다. 카카오는 9월 23일 경기 용인시 AI 캠퍼스에서 열린 ‘이프 카카오 25’ 콘퍼런스를 통해 카카오톡 내부에 챗GPT를 연동하고, 온디바이스 AI 도입을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 개편 내용을 발표했다.

이번 개편의 핵심은 기존 텍스트 중심의 단일 기능 메신저에서 벗어나 탐색과 정보 활용, 여러 서비스 간 연계가 가능한 다기능 플랫폼으로의 진화다. 특히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 서비스를 통합하면서, 이용자가 채팅창 상단에서 직접 AI와 대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카카오는 채팅 앱에서 챗GPT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 이 기능이 최신 GPT-5 모델에 기반하며, 이미지 처리와 맥락 인식까지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이와 동시에 카카오가 자체 개발한 온디바이스(단말기 내장형) AI 모델 ‘카나나’도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모델은 마치 개인 비서처럼 사용자와의 대화, 질문 응답, 검색 지원 등을 오프라인 환경에서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며, 검색 기능뿐 아니라 보안성도 강화됐다. 카카오는 ‘카나나 인 카카오톡’이라는 이름으로 기능을 순차 도입할 예정이며, 사용자 베타 테스트도 진행된다.

카카오톡의 UI도 이와 맞물려 변화한다. 기존 채팅 중심의 구조에서 벗어나, 세 번째 탭에는 짧은 영상(숏폼) 콘텐츠와 다양한 오픈채팅방을 연결한 ‘지금탭’이 새로 도입되고, 친구탭 역시 타임라인 형태로 변화해 이용자 소셜 네트워크 경험을 확장시킬 계획이다. 여기에 메시지 수정 기능 도입과 AI 요약 기능 등도 추가될 예정이라, 전체적인 서비스의 편의성과 활용도는 이전보다 크게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는 이런 변화를 통해 앞으로 자사의 다양한 플랫폼—예컨대 카카오맵, 선물하기,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 멜론 등—을 하나의 AI 생태계로 유기적으로 엮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특히 ‘카카오 에이전트’라는 형태로 다양한 기능이 통합되며, 이 서비스는 향후 공공기관과 외부 파트너에게도 확장해 다양한 분야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방침이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국내 메신저 시장은 물론, 생활형 AI 플랫폼 경쟁의 본격화를 촉진할 가능성이 크다. 생성형 AI와 온디바이스 기술이 결합된 서비스가 실제 사용자 경험 향상으로 이어질 경우, 소비자의 일상에 스며드는 새로운 형태의 AI 활용이 한층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