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봇 AI, 504억 투자 유치…MCP 기반 AI 인프라 확장 본격화

| 김민준 기자

AI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오봇 AI(Obot AI)가 시드 투자 라운드에서 3,500만 달러(약 504억 원)를 유치하며 차세대 모델 연결 표준인 MCP(Model Context Protocol) 기반 인프라 확장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AI 모델과 외부 데이터, 소프트웨어 도구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로 지난해 앤트로픽(Anthropic)이 발표한 MCP는 아직 초기 표준 단계에 머물러 있다. 기업들은 MCP를 채택하는 과정에서 관리, 보안, 통합 측면에서 다양한 문제에 봉착해 있고, 오봇 AI는 이 문제를 해결할 핵심 플랫폼을 제공하며 시장 진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오봇 AI는 이번 자금 조달을 통해 오픈소스 프로젝트 ‘Obot MCP 게이트웨이’ 및 ‘Nanobot MCP 에이전트 프레임워크’를 본격 확대하고 개발 인력을 대폭 늘릴 계획이다. 이들 프로젝트는 기업들이 MCP 기반 인공지능 솔루션을 보다 투명하고 안전하게 구축·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특히 Obot MCP 게이트웨이는 중앙 통제식 제어 콘솔과 자동화된 연결 문서화 기능, 보안 프록시 등을 제공해 IT 부서의 접속 관리 복잡성을 획기적으로 낮춰준다.

셩 리앙(Sheng Liang) 오봇 AI CEO는 “MCP는 기업들이 AI를 수용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며 “하지만 표준화된 플랫폼 없이 접근하면 통합과 거버넌스에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오봇의 MCP 게이트웨이는 실질적인 통제체계를 제공함으로써 AI 보안을 확보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투자사들도 오봇 AI의 기술력과 시장 필요성을 높이 평가했다. 메이필드 펀드(Mayfield Fund)의 우르시트 파리크(Ursheet Parikh) 파트너는 “기업들이 AI 어시스턴트의 가치를 온전히 활용하는 데엔 신뢰성과 보안이 필수”라며 “오봇 AI의 MCP 기반 플랫폼은 기업 인프라에서 빠진 마지막 퍼즐 조각”이라고 평가했다.

오봇의 또 다른 핵심 기술인 'Nanobot' 프레임워크는 AI 에이전트 개발을 빠르게 구현할 수 있는 개발 도구 세트다. 이 프레임워크는 AI 에이전트가 외부 도구에 손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돕고, ‘MCP-UI’라는 실험적 확장 표준까지 지원해 챗봇 인터페이스 내부에 인터랙티브 웹 기능을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게 만든다.

오봇 AI는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AI 확산이 가속화되는 현 시점에, MCP를 둘러싼 복잡성과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중간 지대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이번 대규모 투자 유치는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한 표준 연결 인프라라는 사업 모델이 시장에서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는 평가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