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자사의 대표 메신저 앱인 카카오톡을 출시 15년 만에 전면 개편하며, 인공지능 기반 다기능 플랫폼으로 본격적인 변화를 선언했다. 이번 변화로 카카오톡은 단순한 메시징 앱을 넘어, 챗GPT와 유사한 인공지능 비서 서비스를 포함한 대화형 커뮤니티 플랫폼으로 진화하게 됐다.
카카오는 9월 23일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카카오 AI 캠퍼스에서 열린 개발자 콘퍼런스 ‘이프 카카오 2025’에서 향후 적용될 카카오톡의 주요 변경 사항을 공개했다. 개편의 핵심은 카카오톡 내 챗GPT 기반 AI 서비스와 카나나라는 자체 인공지능 기능의 도입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고도 채팅 화면에서 곧바로 음악 감상, 일정 관리, 정보 검색 등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오픈AI와 협력해 카카오톡 채팅 탭에 챗GPT(최신 GPT-5 모델)를 탑재한 것이다. 사용자는 ‘운전 중 들을 음악 추천’과 같은 지시를 챗GPT에 주면,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인 멜론 등 카카오 생태계 내 다른 서비스와 자동 연동돼 결과를 받을 수 있다. 챗GPT는 이미지 생성, 파일 업로드 등 기존 웹 기반 기능도 카카오톡 안에서 그대로 제공하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이전보다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자체 AI인 ‘카나나’도 전면에 나섰다. 카카오톡에 내장된 경량화된 인공지능 모델 ‘카나나 나노’는 별도 인터넷 연결 없이도 작동하며, 이용자의 대화 맥락을 파악해 일정 확인, 예약 알림 등의 기능을 먼저 제안하는 ‘선톡’ 방식으로 소통하게 된다. 이는 인공지능이 사용자의 요구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먼저 행동하는 구조로, 기존 일방향적 사용자 명령과는 다른 차별점을 보여준다. 카카오는 특히 한국어 어휘와 뉘앙스를 정확하게 파악해 다양한 맥락에서 정확한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본 메신저 기능도 대폭 강화됐다. 채팅방을 사용자 관계별로 분류할 수 있는 채팅 폴더 기능이 도입됐고, 메시지를 보낸 후 수정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됐다. 수정한 메시지는 상대방에게 변경 전 내용이 표시되지 않아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강조했다. 여기에 안읽은 메시지를 미리 볼 수 있는 기능도 적용되면서, 일상 속 효율적인 소통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기능 개선이 이뤄졌다.
이 외에도 사진을 바탕으로 숏폼 영상을 생성하는 기능, 채팅방 내 실시간 영상 감상 공유, 친구 프로필 변경을 타임라인 형식으로 볼 수 있는 피드형 사용자 환경까지 추가되며, 카카오톡은 점점 더 ‘일상 생활형 플랫폼’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특히 기존 오픈채팅탭은 새로 ‘지금탭’으로 개편되면서 관심사 기반의 커뮤니티 기능이 더 강조됐다.
이번 개편은 AI와의 융합을 통해 메신저 그 이상으로 진화한 카카오톡의 방향성을 보여준다. 사용자 편의성과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동시에 강화하면서도,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를 반영해 챗GPT 학습에 채팅 내용을 활용하지 않는다는 보안을 약속했다. 향후 카카오는 이같은 플랫폼 확장성을 기반으로 AI 생태계를 다각도로 확장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카나나나 챗GPT와의 연계를 보다 심화하면서, 소비자 일상 속 다양한 활동에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전략을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