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전용 카지노 ‘세븐럭’을 운영하는 그랜드코리아레저(GKL)가 인공지능(AI) 기술을 본격적으로 산업 전반에 도입하기 위해 ‘AI 혁신단’을 신설했다. 카지노 운영의 핵심 영역에 디지털 고도화를 추진함으로써, 업계 전반의 기술 혁신뿐만 아니라 관광산업 전반에 미칠 파급효과도 주목된다.
GKL은 9월 24일 “다음 단계의 기업 성장 전략으로 AI 기반의 사업 혁신에 나설 것”이라며, ‘넥스트 GKL: AI 혁신으로 도약하는 카지노의 미래’라는 비전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한 디지털 전환을 넘어, AI를 활용한 예측 분석과 맞춤형 고객 서비스를 통해 고부가가치를 만들어내겠다는 방향이다.
세부적으로는 크게 세 가지 영역에서 구조 개편이 이뤄진다. 먼저, ‘고객 경험 혁신’을 통해 카지노 이용자에게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광 접점 전반을 디지털화하는 것이 주요 과제다. 동시에 AI와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ERP)을 통합해, 카지노 운영을 정교하게 예측할 수 있는 ‘조직 운영 혁신’도 병행된다. 이 밖에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 간 협력을 통해 관광산업 생태계 전체의 AI 전환을 주도하겠다는 계획 아래 ‘산업 디지털 전환 선도’도 포함됐다.
GKL은 그간 단계적으로 신기술을 접목해 왔다. 2023년에는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 ‘세븐럭플러스’ 앱을 도입했고, 2024년에는 자율주행 로봇을 활용해 카지노 칩과 카드 운반 업무를 자동화한 바 있다. 최근에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스테이블 코인 결제와 바우처 시스템 도입 작업도 병행하며, 혁신적 운영 환경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AI 혁신단 신설은 정부가 추진하는 AI 대전환 정책과도 궤를 같이한다. 관광과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기술 변화에 상대적으로 더딘 가운데, GKL은 선제적으로 변화에 대응하며 정책 방향에 발맞추는 모양새다. 회사 측은 2035년까지 아시아 최고의 도심형 관광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도 밝혔다.
이 같은 흐름은 국내 관광·카지노 업계 전반에 기술 혁신 경쟁을 자극할 전망이다. 특히 공공기관이 주도하는 대형 프로젝트인 만큼, AI 기술의 도입과 관련 인프라 확충이 보다 빠르게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이는 과거의 노동 집약적 운영 방식에서 벗어나, 데이터 기반의 정밀 운영이라는 산업 구조 전환에도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