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인재 400명 국내 귀환…정부 '이노코어' 효과 본격화

| 연합뉴스

정부가 국내 인공지능(AI) 인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해온 ‘이노코어’ 사업이 연봉 지원과 맞춤형 경력 설계를 통해 박사후연구원 400명 임용이라는 첫 번째 목표를 달성했다. 특히 해외 유학 및 연구 중이던 국내 인재의 복귀를 유도하며 두뇌유출 완화를 위한 정책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내 4대 과학기술원(GIST, DGIST, UNIST, KAIST)은 9월 29일, ‘이노코어(INNOCORE)’ 사업의 일환으로 구성된 8개 연구단에 박사후연구원 400명을 선발·임용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AI 융합 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전략기술분야에서 국내외 인재의 연결고리를 만들고 연구개발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마련된 정부 주도형 인재 확보 프로그램이다. 박사후연구원 1인당 연봉 9천만 원을 정부가 지원하며, 안정적인 연구 환경 제공이 핵심이다.

이번 인력 구성에는 해외 명문대 출신 박사후연구원 56명이 국내에 복귀해 눈길을 끌었다. 이들 다수는 매사추세츠공과대(MIT), 스탠퍼드, 하버드 등에서 연구를 수행하거나 UC버클리 등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있었다. 이 외에도 국내 대학 출신 박사 116명, 외국 국적 연구원 103명, 기존 국내 연구기관에서 활동하던 인력 125명이 포함되며, 총 400명의 구성은 다양성과 경력의 폭을 반영하고 있다.

정부는 이번 연구단 구성에 그치지 않고, 각 연구원이 장기적으로 민간기업, 정부출연연구기관, 대학 등 국내 연구 생태계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실무 경험과 네트워크 형성 기회를 제공할 방침이다. 특히 창업을 희망하는 이들에게는 실용화 잠재력이 있는 연구 과제 투입과 민간 투자 연계도 병행해, 연구성과가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는 경로도 마련 중이다.

또한 과학기술원이 인력 편중되지 않도록 특정 기관 쏠림을 피하기 위한 겸직 파견 제도를 운영하며, 내년부터는 AI를 넘어 전체 전략기술 분야로 지원 범위를 확대할 방침이다. 출연연의 기존 과제 중심제도(PBS) 개선과 함께, 대형 공동연구 형태인 ‘ISD(기관전략개발단)’를 연결함으로써 연구소 중심의 융합 인재 활용도 확대될 전망이다.

이 같은 정책 흐름은 국내 인공지능 산업 및 첨단 기술 분야 전반의 인재 생태계를 재편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특히, 미국 중심으로 진행되던 해외 고급 인재 유치 활동도 싱가포르, 유럽, 일본 등으로 확장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정부 전략이 구체화되고 있어, 향후 국내 기술 자립도와 산업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