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선박·드론에 힘싣는 정부…2030년 자율운항, 2031년 완전자율비행 목표

| 연합뉴스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선박과 드론 분야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본격화되고 있다. 정부는 자율운항과 자율비행 기술의 상용화를 목표로, 핵심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세부 지원책 마련에 들어갔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25년 10월 1일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HD현대 글로벌 연구개발센터를 찾아 인공지능 선박·드론 분야 기업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간담회는 ‘AI 대전환 릴레이 현장 간담회’의 세 번째 행사로, 앞서 로봇·자동차, AI 기반 공장 자동화(팩토리) 분야에 이어 이어진 일정이다.

이 자리에는 조선과 드론 산업을 대표하는 민간기업과 연구기관이 참여했다. 선박 부문에서는 HD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선박 특화 솔루션 기업인 아비커스, 마린웍스 등이 참석했고, 드론 부문에서는 메이사, 시스테크, 유비파이, 파블로항공 등 관련 기업과 기관이 참여했다. 정부는 이들과 함께 기술 개발과 사업화 과정에서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향후 지원 방향을 논의했다.

정부가 제시한 계획에 따르면 조선 분야에서는 2030년까지 승무원 없는 선박의 자율항해 기술을 완성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기술과 조선·해운 시스템을 융합한 ‘자율항해-기관자동화-화물 및 항만 연계시스템’을 구축한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특히 자율운항 기술은 국가전략기술로 추가 지정돼 앞으로 연구개발(R&D) 비용과 시설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이 강화된다.

드론 분야 역시 비슷한 수준의 지원이 이어진다. 정부는 2031년까지 완전 자율비행 드론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AI 기반 드론 5대 완성체’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들 5대 분야는 항공, 소방, 농업, 물류, 건설기설관리 등 드론의 활용도가 높은 산업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개발부터 시험 및 상용화까지 산업 전주기에 걸쳐 기술 상용화와 지원이 병행될 방침이다.

정부는 인공지능 기반 기술이 향후 제조업과 운송·물류 분야의 구조 자체를 바꾸는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IT, 반도체, 조선 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한 한국이 인공지능과 결합할 경우 글로벌 시장에서 선도적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행보는 중장기적으로 AI 기반 산업의 새로운 성장 축을 형성하면서, 국내 기술 경쟁력도 한층 견고해질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