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가 1일 방한 첫 일정으로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만남을 갖고, 인공지능(AI) 기술 기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생성형 AI와 반도체 분야의 협력 가능성이 주요 의제로 떠오르면서, 글로벌 AI 업계와 국내 기업 간의 전략적 접점이 확대되는 분위기다.
올트먼 CEO는 이날 서울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입국한 직후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SK서린빌딩으로 이동해 최 회장과 오찬 회동을 가졌다. 이날 자리에는 SK하이닉스의 곽노정 사장, SK텔레콤의 유영상 사장 등 SK 주요 계열사 경영진과 김경훈 오픈AI코리아 대표도 동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픈AI와 SK그룹은 지난 몇 년간 AI 기술의 산업 적용에 주목해왔으며, 이번 회동에서도 AI 반도체와 생성형 AI 서비스 분야에서의 협업 가능성이 집중적으로 다뤄진 것으로 보인다.
오픈AI는 챗GPT를 비롯한 생성형 AI 기술을 상업화하며 글로벌 AI 시장의 패러다임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이다. 이에 따라 한국을 포함한 각국 정부와 기업들 사이에서는 오픈AI와의 협력을 통해 자국 산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리려는 움직임이 잇따르고 있다. SK그룹 역시 AI 반도체 개발을 위한 인프라 확대와 AI 모델 연구 등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힘을 싣는 중이다.
올트먼 CEO는 SK와의 만남을 마친 뒤 곧바로 삼성전자 서초사옥으로 이동해 이재용 회장과도 회동을 진행할 예정이며, 이어 대통령실에서 이재명 대통령과도 면담할 계획이다. 이번 일정을 통해 미국과 한국 간 기술 협력의 접점이 확대되고,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AI 에코시스템 참여도도 한층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대통령실은 이날 접견의 취지를 설명하며, 정부와 오픈AI 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한국의 'AI 대전환' 전략을 추진하고, 국내 AI 생태계 육성에 속도를 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특히 대통령은 올트먼 CEO에게 국내 기업과의 협력 확대와 한국 내 기술 투자를 요청할 계획으로, 이는 향후 AI 산업 전반에 걸쳐 새로운 계기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글로벌 AI 기업과의 접점 확대는 국내 기술기업들의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는 물론,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산업 지형 재편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중장기적으로 관련 투자와 기술협력이 더 활발해질 가능성이 크며, 한국이 AI 글로벌 허브로 성장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