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오픈AI 전격 제휴… AI 기술패권 경쟁 본격 가세

| 연합뉴스

한국 정부가 세계적인 인공지능(AI) 개발 회사 오픈AI와 손을 잡고 국내 AI 생태계 조성을 위한 협력에 나섰다. 정부는 이번 협력을 통해 지역 균형 발전과 공공서비스 전환, 인재 양성 강화 등을 아우르는 전방위적 지원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0월 1일 오픈AI와의 양해각서(MOU) 체결 사실을 공식 발표했다. 오픈AI는 챗GPT로 잘 알려진 미국의 대표적인 인공지능 스타트업이며, 이번 협약은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의 방한 일정에 맞춰 이뤄졌다.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참석한 가운데 체결된 이번 양해각서는 정부의 AI 정책 추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평가받는다.

구체적으로, 과기정통부와 오픈AI는 국내 인공지능 산업에 있어 지역 간 산업 격차를 줄이고, 공공기관에서의 인공지능 기술 도입을 가속화하며, AI 전문가 인재양성과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에 힘을 보태기로 했다. 이 같은 협약은 단순한 기술 이전이나 교류 수준을 넘어, AI 기반 국가 전환 전략의 일부로 해석된다.

또한 협력 범위는 글로벌 수준의 인공지능 인프라 구축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오픈AI가 일본 투자기업 소프트뱅크, 미국 클라우드 기업 오라클과 함께 준비 중인 데이터센터 건설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에 한국 기업의 참여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는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AI 공급망 속으로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협약에 참여한 한국 측 주요 인사들은 정부, 산업, 기술 분야의 대표 주자들이다. 이재명 대통령을 비롯해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 SK그룹 최태원 회장 등 국내 주요 대기업 총수들도 행사에 참석해 정부의 AI 육성 전략에 힘을 실었다. 이 같은 민관 협력 구조는 AI 산업이 단순한 기술영역을 넘어 국가전략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한국이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AI 기술 중심지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 미국, 유럽과의 기술 격차를 좁히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인프라 조성 외에도 공공·민간 협업 강화, 지속적인 기술 투자와 규제개선이 병행돼야 한다. 이번 MOU 체결은 그 첫 발걸음으로, 향후 구체적인 성과 창출 여부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