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서구가 인공지능(AI)을 공공행정 전반에 도입해 ‘AI 특화도시’ 기반을 확립하는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실종자 추적, 산불 감시 같은 안전 분야부터 복지·행정까지 총 22개 과제를 선정해 추진에 들어갔다.
강서구는 지난 3월 ‘AI 행정혁신추진단’을 출범시킨 데 이어, ‘인공지능 기본조례’를 제정해 제도적 기틀을 마련했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 복지, 건강, 행정, 신성장산업 등 5대 분야에서 AI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이번에 확정된 22개 과제는 주민의 삶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영역에서 AI 기술을 활용하겠다는 구의 전략을 반영하고 있다.
생활 안전 분야에서는 AI 기반 CCTV 분석 기술이 핵심이다. 실종자 수색에 AI를 도입해 촬영된 수많은 영상을 1분 이내로 분석하고, 폭력이나 이상 행동을 자동 인식해 빠르게 대응할 수 있게 했다. 또 마을버스에 영상탐지 카메라를 설치해 도로 위 파손 부위를 실시간 감지하고, 내년부터는 봉제산에 AI 산불감시 시스템도 가동할 계획이다.
복지와 건강 영역 역시 AI 기술 접목이 활발하다.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음성 기반 안부 확인 서비스와 함께,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활용한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이 도입된다. 이는 활동량, 주거 공간의 온도·습도 등 생체 징후를 자동 파악해 위험 신호를 감지하는 방식이다. AI를 기반으로 한 감염병 예측 시스템도 구축돼, 지역 보건 정책의 선제 대응력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행정 서비스 역시 디지털로 전환된다. 내년 마곡 신축 신청사에는 AI 민원 안내 시스템이 도입돼, 대화형 챗봇을 통한 24시간 응대가 가능해질 예정이다. 또 AI 전문 도서관과 상호작용 체험 공간도 함께 마련돼, 구민들은 AI 관련 정보와 콘텐츠를 직접 체험할 수 있게 된다. 강서구는 오는 17일부터 관내 공원을 중심으로 자율주행 로봇을 활용한 재활용품 수거와 자체 배달 서비스를 시범 운영함으로써, 도시 내 물류 효율도 시험할 계획이다.
강서구는 오는 11월 4일 서울창업허브M플러스에서 ‘AI 강서 특화도시 비전 선포식’을 개최하고, 경찰서, 소방서, 교육청, 민간 기업들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는 AI 정책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기반으로 평가된다.
이 같은 흐름은 지방자치단체가 단순한 행정 지원자가 아니라, 지역 맞춤형 스마트도시 구현의 주도자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강서구의 사례는 향후 서울시 다른 구와 주요 광역시 단위의 AI 행정 도입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