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AI 전환 위해 3개 부처 손잡았다…제조·중소기업에 기술 혁신 불꽃

| 연합뉴스

정부가 산업 전반의 인공지능(AI)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간 협력 체계를 공식화했다. 이들 부처는 10월 15일 서울 종로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AI 기술 도입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산업계에 전방위 지원을 약속했다.

이번 협약은 각 부처의 전문성과 정책 역량을 융합해 산업의 전방위 AI 전환을 추진하자는 데 목적이 있다. AI 기술은 제조업이나 유통, 서비스업 등 거의 모든 분야에 경쟁력의 핵심이 되고 있지만, 실제 현장 도입률은 여전히 낮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산업 맞춤형 정책 연계를 통해 기업의 기술 수용성을 높이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하겠다는 구상이다.

협약의 유효기간은 3년이며, 이 기간 동안 세 부처는 AI 기반 신시장 창출과 중소기업, 스타트업의 AI 기술 활용 확대에 방점을 두고 협력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부처 간 정책협의회를 구성하고, 전문가 교류회 및 기술 워크숍 등도 정례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다. 실질적으로는 AI 기술을 중소기업 현장과 연결해 기술 고도화와 혁신을 동시에 도모하는 것이 핵심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들의 발언에서도 이러한 방향성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배경훈 부총리는 우리나라 제조업의 강점에 AI 기술을 결합해 기술 리더십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고,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인구 감소와 생산성 정체, 중국의 기술 추격이라는 복합 위기를 극복할 전략으로 AI 대전환을 지목했다. 중기부의 한성숙 장관 역시 대기업의 AI 자산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도 산업 분야에 특화된 태스크포스(TF)를 출범시키기로 했다. 특히 제조업과 AI 기술을 결합한 실증 프로젝트나 모범 사례 창출 등 구체적인 실천방안도 곧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흐름은 앞으로 산업계 전반에서 AI 기술에 대한 관심과 수요를 더 끌어올릴 가능성이 크다. 특히 사람 중심의 기술 혁신을 강조하는 정부 기조와 맞물려, 국내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이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