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미국 정부에 인공지능 생태계 강화를 위한 지원을 요청하면서 반도체 관련 세제 혜택 확대를 공식 건의했다. 반도체 공장에 집중된 기존 혜택을 AI 데이터센터와 전력망 구성 부품까지 넓혀달라는 제안이다.
오픈AI는 지난 10월 27일,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 마이클 크라치오스 앞으로 보낸 서한에서 반도체법(일명 '칩스법') 상의 투자세액공제 대상 확대를 요청했다. 이 법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2022년에 제정했으며, 미국 내 반도체 제조시설에 투자하는 기업에 대해 25%의 세액공제를 제공한다. 이후 2025년에는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을 통해 세액공제 비중이 35%까지 확대된 바 있다.
오픈AI는 서한에서 기존의 제조업뿐 아니라 인공지능 서버 제조, AI 데이터센터 구축, 변압기나 특수강 등 전력망 핵심 부품 생산까지 세제 혜택의 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AI 기술의 급속한 확산에도 불구하고 인프라 부족과 자본 부담이 병목현상을 야기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회사 측은 공제 대상 확대를 통해 초기 투자 위험을 줄이고 민간 자본을 끌어들여 AI 생태계 구축 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건의는 또한 미국 제조업체에 대한 정부 보증과 보조금 지원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오픈AI는 자사가 아닌 관련 제조업체에 대한 지원임을 명확히 하며 기업 보조 논란을 피하려 했다. 서한에서는 구리, 알루미늄, 전기강판, 희토류 원소 등 핵심 소재 시장에서의 중국 주도 공급망 왜곡에 대응할 수단으로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도 제시됐다. 아울러 변압기와 같은 전력 인프라 핵심 부품의 생산 속도 개선에도 정부 지원이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앞서 오픈AI는 자사에 대한 정부 보증 논란으로 곤혹을 치른 바 있다. 새러 프라이어 최고재무책임자(CFO)가 AI 칩 조달 비용을 보증받는 방안을 언급했다가 정치권과 정책당국에서 강한 반발을 샀다. 당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AI 정책 총괄 역할을 맡았던 데이비드 색스 백악관 과학기술자문위원장은 “AI에 대한 연방정부의 구제금융은 없다”고 선을 그었고, 프라이어 CFO와 최고경영자 샘 올트먼은 곧바로 자사 보증 요청은 없었다고 해명에 나섰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개된 이번 서한은 오픈AI가 AI 관련 대규모 투자를 위한 재정적 기반 마련에 국가 차원의 제도 개선과 지원을 계속해서 요청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AI 인프라를 반도체 산업 연장선으로 보고, 범정부적 지원 체계 안에 포함시키려는 전략으로 읽힌다. 이 같은 흐름은 앞으로 미국 내 AI 산업과 전력·소재 산업 간의 정책적 연계가 더욱 강화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