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에 AI·디지털 허브 생긴다…한국소비자원 중심 협의체 출범

| 연합뉴스

한국소비자원이 충북지역의 6개 공공기관과 9개 대학과 함께 인공지능 및 디지털 기술 분야의 지역 역량을 키우기 위한 협의체를 결성하고, 이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국소비자원은 11월 12일 충북혁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공공기관과 대학들과 다자간 업무협약을 맺고, 이들 기관과 함께 '충북 AID(AI·Digital) 협의체'를 출범시켰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고용정보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등 총 6개 공공기관이 참여했다. 여기에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를 비롯한 국립한국교통대학교, 서원대학교, 중원대학교, 청주대학교 등 9개 대학교가 함께 이름을 올렸다.

이번 협의체는 단순한 교육 협력이 아니라, 연구개발과 인재 양성, 디지털 혁신 정책 실행까지 아우르는 다방면의 협력 구조로 짜여졌다. 구체적으로는 다자간 공동 연구와 기술 교류, 디지털 전환 기반의 공동 사업 추진, 소프트웨어 중심 사회 구현, 교육 및 직무 역량 강화 등을 협력 과제로 삼고 있다. 특히, 디지털 격차 해소와 지역 내 기술 플랫폼 구축 등 사회적 파급력을 염두에 둔 실질적 내용이 포함됐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협약을 통해 충북권 내에서 인공지능 관련 기술과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만큼, 지역 내 기술교류가 활성화되고 전문 인재 수급이 원활해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지방 대학교와 공공기관이 연계한 형태로, 지역 기반의 산업구조를 함께 디지털화하고 첨단기술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는 평가다.

그동안 수도권에 집중되었던 디지털 정책과 인재 양성 기회가 지역으로 확산되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특히 충북혁신도시는 정부 주도의 공공기관 이전 정책에 힘입어 행정·공공 인프라가 밀집되어 있는 만큼, 산학연(産學硏)의 협력을 통해 실질적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여건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다른 지역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 정부의 균형 발전 정책 기조와 맞물려, 지역 거점 중심의 디지털 협력체 구성이 이어진다면, 지역 간 기술 격차 해소와 균형 있는 성장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