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최대 스테이블코인 USDT 발행사 테더(Tether)가 2025년 1분기 미 국채 노출 규모를 1,200억 달러로 확대하며, 전통 자산 투자에서만 10억 달러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1일(현지시간) 더블록에 따르면, 테더는 자사의 분기 실사 보고서를 통해 2025년 1분기 기준 미국 국채 총 노출액이 1,200억 달러에 근접했다고 밝혔다. 이 수치는 머니마켓펀드 및 역환매조건부채권(Reverse Repo)을 포함한 직·간접 보유 금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직접 보유한 미 국채는 약 990억 달러로 집계된다.
테더는 이번 분기 동안 전통 금융 상품 투자에서 10억 달러 이상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강조했다. USDT는 현재 유통량 기준 약 1,490억 달러 규모로, 세계 최대의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으로 자리잡고 있다.
테더는 회계법인 BDO를 통해 분기별 준비금 실사(attestation)를 실시하며, 시장의 신뢰 확보를 위한 투명성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테더는 또한 재생에너지, 인공지능(AI), P2P 통신, 데이터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20억 달러 이상의 장기 자금을 배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한 자산 보유를 넘어서, 실물 기반 인프라 투자로 전략을 다변화하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이번 분기는 엘살바도르 본사 이전 이후 첫 공식 회계기간이기도 하다. 엘살바도르는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인정한 첫 국가로, 테더는 자사의 운영 거점을 해당 국가로 옮기며 암호화폐 규제 환경에서도 비교적 우호적인 체제를 확보했다.
참고로, 로이터에 따르면 2025년 2월 기준 일본은 미 국채 보유 1.1조 달러로 세계 1위 보유국이며, 테더는 민간 기업으로는 이례적인 규모의 보유량을 기록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