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베이스, 역사상 최대 합병에도 비트코인 전면 전환은 거부

| 이준한 기자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의 전략과 유사한 비트코인 중심의 자산관리 전략을 고려했지만 핵심 거래소 사업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로 결국 포기했다고 전해졌다.

11일(현지시간) 크립토뉴스에 따르면, 5월 9일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브라이언 암스트롱(Brian Armstrong) 최고경영자는 지난 12년 동안 코인베이스 대차대조표의 상당 부분을 비트코인으로 전환하자는 아이디어가 여러 차례 제기됐다고 말했다. "대차대조표의 80%를 비트코인에 투자해야 할까 생각한 순간들이 분명히 있었다"고 암스트롱은 말했다. 하지만 회사가 위험 관리를 위한 의식적 결정을 내렸으며, 그런 움직임이 코인베이스의 유동성과 미래 운영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알레시아 하스(Alesia Haas) 최고재무책임자는 암스트롱의 신중함에 동조하며, 코인베이스가 특정 암호화폐에 베팅함으로써 자사 고객과 경쟁하는 것을 의도적으로 피했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인베이스는 비트코인에 상당히 노출되어 있다. 5월 8일 발표한 최신 수익 보고서에서 회사는 1분기에 주로 BTC로 1억 5300만 달러의 암호화폐를 구매했다고 밝혔다. BitcoinTreasuries.net에 따르면, 코인베이스는 현재 9480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가격으로 거의 10억 달러에 달한다.

이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MicroStrategy), 테슬라(Tesla), 마라톤 디지털 홀딩스(Marathon Digital Holdings) 등 기업들에 이어 전 세계에서 9번째로 큰 기업 비트코인 보유자가 된다. 코인베이스가 전면적인 비트코인 전환을 자제한 반면, 다른 회사들은 세일러의 전략을 수용하여 대규모 비트코인 인수를 위해 주식과 부채를 활용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100개 이상의 공개 기업, 40개의 ETF 발행사, 심지어 12개 국가도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코인베이스는 또한 이번 주 암호화폐 파생상품 플랫폼 데리빗(Deribit)을 29억 달러에 인수하여 업계 역사상 최대 합병이라는 헤드라인을 만들었다. 이 인수는 코인베이스가 이전에 버뮤다 기반 운영을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었던 암호화폐 파생상품 시장에서의 입지를 크게 강화한다. 데리빗은 2024년에 1조 달러 이상의 거래량을 처리했으며 300억 달러의 미결제 약정을 보유하고 있다. 코인베이스는 이 인수가 회사를 암호화폐 파생상품의 새로운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한다고 말했다.

코인베이스는 혼재된 1분기 실적을 보고했으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한 20억 달러를 기록했지만 애널리스트 예상에 못 미쳤고 전 분기 대비 10% 감소했다. 거래 수익은 12억 6천만 달러로 증가했지만, 스테이킹과 보관 서비스를 다루는 구독 및 서비스 부문은 37% 증가하여 거의 7억 달러에 달했으며, 이는 거래를 넘어선 다각화 증가를 반영한다.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회사는 시장 변동성 속에서 암호화폐 보유분을 평가절하하여 순이익이 94% 급감한 6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조정 수익은 5억 2660만 달러, 또는 주당 1.94달러로 여전히 작년 수치인 2.53달러에 못 미쳤다. 적극적인 마케팅과 자산 평가절하로 인해 운영 비용은 51% 급증하여 13억 달러를 기록했다. 코인베이스의 수익은 예측 불가능한 거시경제 상황과 디지털 자산 가격 변동으로 인해 압박을 받았다. 하지만 회사는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월간 사용자 수를 기록했다고 언급했으며, 하스 CFO는 비거래 서비스 전반에 걸친 참여 증가를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