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D닷컴과 앤트그룹이 중국 위안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 허가를 중국 인민은행(PBOC)에 정식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두 기업은 미국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영향력이 세계적으로 커지는 상황을 경계하며, 역외 위안화(CNH)를 활용한 스테이블코인이 중국 통화의 국제적 입지를 높일 해법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JD닷컴과 앤트그룹은 최근 PBOC 당국과의 비공식 회의에서 위안화 스테이블코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JD닷컴 경영진은 위안화 기반 디지털 자산이 국제 결제 시장에서 중국 통화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긴급한 수단이라고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두 기업은 현재 홍콩과 싱가포르에서 스테이블코인 발행 라이선스를 취득하기 위한 준비를 진행 중이다. JD닷컴은 홍콩에서 위안화 스테이블코인을 먼저 도입하고, 이후 중국 내 자유무역지대로 확대하는 방안을 제안했으며, 현지 금융 당국의 초기 반응은 긍정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추진 배경에는 최근 위안화의 국제 결제 점유율 감소가 있다. 국제 금융 네트워크 SWIFT에 따르면, 5월 기준 위안화의 글로벌 결제 점유율은 2.89%로, 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면 미국 달러는 여전히 전체 결제의 48%를 차지하고 있다. 왕융리 전 중국은행 부총재는 "스테이블코인 기반의 달러 결제가 빠르게 확산되는 상황에서, 위안화의 비효율적인 결제 시스템이 국가 전략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한편 홍콩은 다음 달 1일부터 본격적으로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에 대한 라이선스 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다. 이는 ‘LEAP’ 정책 프레임워크 일환으로, 실물경제와의 연결, 생태계 확대, 법적 명확성 확보 및 인재 양성을 위한 기반을 다지겠다는 목표를 담고 있다.
JD닷컴 창업자 류창동은 지난 6월 "전 세계 주요 국가에서 스테이블코인 라이선스를 획득할 계획"이라고 언급하며, 글로벌 환전시장에 진출하겠다는 전략을 공식화했다. 이 발언은 인민은행이 상하이에 국제 디지털 위안 운영센터를 설립하겠다고 밝힌 직후 나왔다. 당국은 이를 디지털 위안화의 세계화와 글로벌 달러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보고 있다.
현재 전 세계 스테이블코인 시장 규모는 2,580억 달러(약 359조 2,000억 원)를 넘어섰으며, 이 중 상위 10개 스테이블코인은 모두 미국 달러에 연동돼 있다. 유로와 연동된 EURC가 11위를 기록하며 유일한 비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으로 포진해 있다.
중국 정부는 다극화된 글로벌 통화 체제를 지향하고 있다. 한 통화에 의존하는 현재의 국제 금융 질서에서 벗어나, 다양한 통화가 균형 있게 작동하는 구조로 바꾸겠다는 전략이다. JD닷컴과 앤트그룹의 행보도 이러한 움직임의 일환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