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정부, 비트코인 보유량 80% 축소…트럼프 '전략적 비축' 재추진 불붙다

| 손정환 기자

미국 연방 정부의 비트코인(BTC) 보유량이 약 28,988개로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한때 20만 개 이상으로 추정됐던 보유량 대비 80% 이상 감소한 수치다. 이번 내역은 미 법무부 산하 미 연방보안국(U.S. Marshals Service)의 공식 보고를 통해 드러났으며, 정부 측은 구체적인 매각 시점이나 거래 흔적 등을 온체인에 기록하지 않아 민간의 감시망을 벗어난 상태다.

이 같은 비밀리에 이뤄진 대규모 매도는 미국 내 비트코인 친화 성향 정치인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공화당 소속 시나 루미스(Cynthia Lummis) 상원의원은 이번 사안에 대해 “정부가 보유하고 있던 대부분의 비트코인을 매각한 것이 사실이라면 이는 국가 전략적 차원에서 큰 실책이며, 미국은 비트코인 경쟁에서 수년은 후퇴한 셈”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루미스는 트럼프 대통령의 재임 기간 동안 추진됐던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안의 도입을 다시 추진하고 있다.

비트코인 보유는 단순한 자산이 아닌 국가 간 디지털 경쟁력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현재 글로벌 차원에서 각국 정부와 기관투자자들이 본격적인 BTC 매수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미국 정부의 주도권 상실은 중국 등 경쟁국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언급되는 유사 사례로는 독일 정부가 BTC 가격 상승 직전에 보유분을 매각해 수천억 원의 손실을 본 사례가 있다.

비트코인을 지지해온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 미국 내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한 크립토 유권자들에게 강력한 지지 기반을 확보 중이다. 그가 제시한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안과 명확한 규제 프레임워크는 미국의 블록체인 산업 육성 계획의 핵심으로 꼽혀왔다. 이에 따라 오는 7월 22일 예정된 정부의 암호화폐 보유 실태 보고서에는 이 같은 논란이 반영될 전망이다.

현재 기준 미국 정부가 보유 중인 비트코인 가치는 약 17억 달러(약 2조 3,630억 원)에 불과하다. 이는 불과 수년 전 200k BTC 가량 보유 시점과 비교해 압도적으로 줄어든 수치이며, 비트코인의 전략적 가치를 감안했을 때 단기적 재정수익 이상의 국가 경쟁력 저해 요소로 해석될 수 있다.

이 같은 현상을 계기로, 비트코인을 국가 자산군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미 의회 내에서 본격적으로 대두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