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바인, 월드 ID 기반 무담보 암호화폐 대출 3만 건 집행…채무불이행률 40%

| 김민준 기자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대출 플랫폼 디바인 리서치(Divine Research)가 지난 12월 이후 약 3만 건 이상의 무담보 단기 암호화폐 대출을 집행했다. 이 플랫폼은 대출 신청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오픈AI(OpenAI) 최고경영자 샘 알트먼(Sam Altman)이 개발한 홍채인식 기반 플랫폼인 월드 ID(World ID)를 활용하고 있다.

디바인은 1000달러(약 139만 원) 이하의 USDC 스테이블코인으로 대출을 제공하며, 전통 금융 서비스에서 소외된 해외 이용자들을 주 타깃으로 삼는다. 월드 ID 기술은 대출자가 채무불이행 이후 동일 인물이 중복 계정을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디바인의 창업자인 디에고 에스테베즈(Diego Estevez)는 파이낸셜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고등학교 교사나 과일 노점상처럼 인터넷만 접속할 수 있다면 누구든지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며 이 서비스를 “강화된 형태의 마이크로파이낸스”라고 표현했다. 기존 금융에서 접근이 어려웠던 일반 시민에게 새로운 금융 접근성을 제공하겠다는 목표다.

대출 이자율은 연 20~30% 수준으로, 첫 거래에서 채무불이행률이 약 40%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됐다. 에스테베즈는 이 같은 높은 손실률을 높은 이자율로 보전하고 있으며, 대출자에게 발급되는 월드 토큰은 일부 회수 가능하다고 밝혔다.

디바인의 실험은 탈중앙화 금융(DeFi)과 생체 인증 기술이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마이크로대출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고금리와 높은 부실률은 지속 가능성에 대한 물음을 낳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