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인링크, 美 주식·ETF 데이터 실시간 온체인화…RWA 시장 재편 신호탄

| 손정환 기자

체인링크(LINK)가 미국 주식과 상장지수펀드(ETF)의 실시간 시세 데이터를 블록체인 상으로 직접 전송하는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s)’ 서비스를 37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공식 출시하며 전통 금융과 탈중앙화 생태계 간의 경계를 본격적으로 허물고 있다. 이 기술은 향후 토큰화 금융 시장을 재편할 핵심 인프라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다.

체인링크가 지난 4일(현지시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번에 도입된 데이터 스트림 서비스는 미국 주요 지수(예: SPY, QQQ), 기술주(엔비디아,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FT) 등)의 시세를 거의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특히 이 데이터는 체인링크의 탈중앙 오라클 네트워크(DONs)를 통해 수집 및 구조화돼 스마트계약이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된다.

데이터는 원본 소스 및 백업 소스를 자동으로 병합해 서비스 중단 없이 유지된다. 각 데이터 포인트에는 정확한 타임스탬프가 적용돼 플랫폼이 마켓 마감 시간이나 비정상 거래 시점을 식별하고 자동으로 거래를 중지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파생상품, 무기한계약, 토큰화 주식, 대출 플랫폼 등 보다 정교한 블록체인 기반 금융 서비스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현재 글로벌 실물자산(RWA) 시장은 2030년까지 약 30조 달러(약 4경 1,270조 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체인링크는 이처럼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RWA 시장에 걸맞은 실시간 금융 인프라를 제공하며, 그 선도적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체인링크의 최고비즈니스책임자 요한 에이드(Johann Eid)는 “데이터 스트림은 블록체인과 전통 금융을 연결하는 결정적인 전환점”이라며, “토큰화 시장이 전통 금융 수준의 신뢰성과 정교함을 갖추는 데 핵심 기반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미 디파이(DeFi) 분야 주요 프로토콜인 GMX와 카미노 파이낸스(Kamino Finance) 등은 해당 기능을 도입했다. 카미노 공동 창업자 토마스 쇼트(Thomas Short)는 “ETF 및 미국 주식의 실시간 데이터가 디파이에서 바로 활용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진 점은 온체인 금융시장의 진화를 의미하는 중요한 이정표”라고 평가했다.

체인링크는 마스터카드·비자 등과의 협업을 통해 미리 그 잠재력을 입증해왔으며, 이번 발표는 탈중앙 금융과 전통 자산의 교차 접점이 빠르게 현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