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블록,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RWA 플랫폼 구축…스테이블코인 'USDR'도 발행 추진

| 토큰포스트

블록체인 기술이 제도화와 맞물리며 디지털자산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해외에서는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이 상용화되고 있으며 금·은·구리 등에 연동된 RWA(실물자산토큰)도 속속 등장하며 실물자산에 대한 투자 접근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투자금이 막대하고 투자 절차가 까다로운 부동산 자산은 여전히 디지털자산 시장과는 요원한 상황이다.

위블록(WeBlock)은 이러한 한계를 깨기 위해 등장한 블록체인 인프라 기업이다. 위블록은 수익성과 안전성이 검증된 우량 부동산을 블록체인 기술로 디지털화해 소액 단위로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있다. 아울러 투자자들이 참여 과정과 수익 배분을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완전한 RWA(실물자산토큰) 생태계 구축에도 힘을 쏟고 있다.

위블록(WeBlock)은 국내 부동산을 담보로 안정적인 가치를 지닌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일반 투자자가 글로벌 브랜드 임차 부동산 지분을 함께 소유하는 구조로 임대 수익을 온체인으로 분배 받는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코인게코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에서 RWA와 스테이블코인은 빠르게 덩치를 키우고 있다. 2025년 5월 기준 스테이블코인 총 공급량은 약 2470억달러(한화 343조원)로 전년 대비 54% 증가했다. 이 가운데 부동산 기반 토큰화 분야는 아직 활용 사례가 미미해 성장 잠재력이 큰 영역으로 꼽힌다. 리플·BCG 보고서도 2025년 6000억달러(833조원) 수준인 RWA 시장이 2033년 18.9조달러(2경6238조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위블록은 지난해 개발 착수 이후 핵심 인프라를 먼저 완성했다. 사용자가 개인키를 직접 보관하는 비수탁형 지갑 서비스를 구축하고 첫 토큰화 대상이 될 프리미엄 부동산 자산을 선정했다. 해당 지갑은 구글 계정 연동 복구 기능을 제공하고 메타마스크·코인베이스 등 글로벌 지갑 대비 편의성과 보안성을 강화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를 위해 위블록은 주요 블록체인 기업과 협업을 추진하고 있다. RWA 코인 거래가 글로벌 레이어1 메인넷 '아발란체(AVAX)' 위에서 운영될 수 있도록 지난해 말부터 아발란체와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아발란체는 높은 처리 속도와 확장성, 낮은 수수료를 지원해 대규모 금융 거래가 안정적으로 처리되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위블록은 글로벌 커스터디(가상자산 수탁) 업체 '비트고'와 협력하며 투자자들의 자산이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기관 투자자 수준의 안전성을 확보했다.

현재 RWA 거래 플랫폼 개발은 대부분 마친 상태다. 다만 플랫폼 내에서 작동하는 토큰 경제 구조 '토크노믹스' 설계가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 올해 말까지 플랫폼 거버넌스 의사결정에 사용되는 'WFT' 토큰을 국내외 거래소에 상장하는 것이 위블록의 목표다. 내년에는 글로벌 주요 커피 브랜드 입점 건물과 서울 아파트에 각각 연동된 'RBT1' 토큰과 'RBT2' 토큰 등 RWA 상품을 공개할 계획이다. 서울 아파트 담보 스테이블코인 'USDR' 발행도 추진해 디지털자산 생태계 확장에도 나설 예정이다.

이지수 위블록 대표는 "지금까지 전통 부동산 시장은 막대한 자본 없이는 참여할 수 없는 '그들만의 리그'였다"라며, "블록체인 분산원장 기술로 부동산 자산을 쪼개어 소액 투자자도 안정적인 투자 임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고 사업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