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자산운용사 스테이트스트리트가 JP모건의 토큰화 채권 플랫폼에 최초로 참여하면서,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 기술 간의 융합이 가속화되고 있다. 블록체인 기반 채권 거래를 가능케 한 이번 협업은 디지털 자산을 둘러싼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졌음을 보여준다.
JP모건이 최근 출시한 ‘디지털 채권 서비스(Digital Debt Service)’는 정부 및 기업 발행 채권을 토큰 형태로 발행해 블록체인 상에서 거래·결제를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스테이트스트리트는 이 플랫폼을 통해 오버시스 차이니즈 뱅킹 코퍼레이션(OCBC)으로부터 1억 달러(약 1,390억 원) 규모의 토큰화 상업채권을 매입했다. 이로써 스테이트스트리트는 해당 플랫폼을 활용하는 첫 번째 수탁기관(Custodian)으로 자리매김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러한 움직임을 전환점으로 해석한다. 제니어스 스테이블코인 법안(GENIUS Stablecoin Act) 의 통과와 함께 미국 내 규제 환경이 블록체인 채택에 우호적으로 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해당 법안은 실물 자산의 토큰화가 본격화되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며, 민간 신용(Public Credit)과 미 국채(US Treasurys)가 현재 가장 활발히 토큰화되고 있는 자산으로 꼽힌다.
2025년 들어 블록체인 기반 금융 인프라는 점차 제도권 금융과 연결되며 규모를 키워가는 추세다. 이제 단지 실험적 접근을 넘어, 자산 보관·운용은 물론, 규제하 거래까지 가능한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정착기로 접어들고 있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