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시장에 1,360억 원 투자 유치…M0·레인 뜨거운 주목

| 민태윤 기자

스테이블코인 인프라에 대한 벤처 투자 열기가 다시 고조되고 있다. 최근 투자자들은 프로그래머블 화폐 시대의 핵심 기반이 될 플랫폼에 대규모 자금을 집행하며,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미래 성장성에 베팅하고 있다.

스위스 기반 스타트업 M0는 시리즈B 투자 라운드에서 4,000만 달러(약 556억 원)를 유치했다고 1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투자는 폴리체인캐피털과 리빗캐피털이 주도했으며, 총 누적 투자금은 1억 달러(약 1,390억 원)에 달한다. M0는 개발자들이 자체 스테이블코인을 쉽게 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현재 메타마스크, 플레이트론 등 소비자 중심 애플리케이션과 기술 통합을 추진 중이다.

한편, 미국 스타트업 '레인(Rain)'도 이번 주 또 다른 시리즈B 투자 유치 소식을 전했다. 레인은 은행들이 규제에 부합하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도록 지원하는 툴을 개발 중인 기업이다. 이번 라운드에서 사파이어벤처스가 주도한 가운데 드래곤플라이, 갤럭시벤처스, 삼성넥스트 등이 참여해 5,800만 달러(약 806억 원)를 투자했다. 이로써 레인의 총 누적 투자금은 8,850만 달러(약 1,231억 원)에 이른다.

두 건의 대규모 투자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급성장세와 맞물려 있다. 디파이 데이터 플랫폼 디필라마(DefiLlama)에 따르면, 13일 기준 전 세계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은 사상 최대치인 2,800억 달러(약 389조 2,000억 원)를 돌파했다.

M0와 레인 모두 소비자와 금융기관을 위한 스테이블코인 인프라를 각각 겨냥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기반 투자는 디지털 달러 실험을 둘러싼 미국 내 정치적 논쟁과 별개로, 비트코인(BTC)을 기반으로 한 탈중앙 금융 생태계와 중앙집중 금융 시스템 모두에서 스테이블코인의 실용성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업계 관계자들은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금융의 결제, 송금, 자산 토큰화 핵심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제도권 안팎에서 수요가 급증하면서 관련 기술 기업에 대한 투자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